전력당국 '블랙아웃 리스트' 단독 입수
그룹별 50만kW씩 1시간 단위 원칙

[이투뉴스] 예비전력이 100만kW를 밑돌아 최악의 순환단전이 시행될 경우 주택·아파트 등 일반용 전력이 가장 먼저 끊기고 대형공장 등 산업용이 맨 나중에 단전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50만kW 단위로 묶인 단전그룹은 1시간뒤 먼저 전기가 끊긴 순서대로 다시 전력공급이 재개되며, 중요시설로 분류된 정부기관, 군부대, 공항, 병원 등은 대상에서 제외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사실은 본지가 단독 입수한 전력당국의 비공개 '비상시 부하조정(단전) 운영계획'을 통해 확인됐다. 이 계획은 전국 14개 권역의 단전 우선순위와 구체적 대상을 상세히 적시하고 있다.

전력당국이 비상시 순환정전 메뉴얼을 보유하고 있을 것이란 추측은 제기돼 왔으나 실제 대상과 우선순위그룹을 분류한 소위 '블랙아웃 리스트'가 확인된 것은 처음이다.

본지가 확인한 비상시 부하조정 운영계획에 따르면, 순환단전은 9.15 사태처럼 예비력이 100만kW를 5분 이상 밑돌 경우 산업통상자원부의 승인 아래 한전이 전력거래소가 산출한 조정량만큼 시행한다. 미리 정해놓은 지역별, 그룹별 단전 우선순위에 따라 한전이 해당지역 변전소 차단기를 끊는 식이다.

이때 한전 지역본부는 최초 단전 대상고객에 문자(SMS)나 전화로 정전을 예고하고, 차순위 대상에게도 정전가능성을 미리 알려 피해와 혼란을 최소화하게 된다.

순환단전 시 가장 먼저 전기공급이 끊는 곳은 주택과 아파트 등 일반용으로 확인됐다. 교육용과 상가 등 비교적 단전피해가 적은 곳도 1순위에 포함됐다.

대상가구는 전국적으로 441만호에 달하며, 부하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약 18%다.

지역별로는 한전 남서울본부가 78만호로 가장 많고, 뒤이어 경기본부(65만호), 대구경북본부(45만호), 대전충남본부(34만호), 인천본부(29만호), 광주전남본부(26만호)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그룹을 전력부하는 원전 8기 공급능력인 8700MW 수준으로 전력당국은 추산했다.

확률은 적지만 이렇게 해서라도 수급사정이 나아지지 않으면 차순위 대상인 2순위 그룹의 송전이 중단된다. 비교적 정전피해가 적은 경공업 선로나 일반공단 선로가 대상이다.

2순위 그룹은 약 100만호(또는 社)로 전체 부하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약 13%(6400MW)로 알려졌다. 

가장 후순위인 3순위로 분류된 곳은 산업용 전용선로(민감 공단선로)와 다중이용시설 전용선로다. 주로 한번 정전이 나면 천문학적 피해액이 발생하거나 대규모 혼란이 야기되는 곳들이다.

이 분류에 의하면 XX지역의 경우 △△아파트와 ○○초등학교는 가장 먼저 단전이 되는 반면 ▲▲반도체나 ▽▽마트는 3순위로 분류돼 단전 가능성이 낮다. 3순위 규모는 약 100만호(社).

순환단전은 피해 최소화를 위해 1순위라도 회당 1시간을 넘기지 않도록 했다.

우선순위에 따라 50만kW씩 그룹을 묶어 순차적으로 단전하되 정전시간이 1시간을 넘긴 지역은 먼저 공급을 재개하고 아직 단전에 들어가지 않은 다른 그룹을 순차 단전하는 방식이다.

이때 부하 차단량이 늘면 해당량에 맞춰 미리 정해진 우선순위에 따라 추가로 전력을 차단하고, 반대로 전력사정이 나아지면 차단시점이 가장 앞선 그룹을 먼저 재개해 형평성을 맞추도록 했다.

최악의 상황에서도 전력공급이 중단되지 않는 시설도 있다. 주로 정전시 국가적 혼란이 초래되는 곳이다. 

중앙 및 지자체 행정기관, 국군 및 유엔군 부대, 중요 방위산업·전력시설, 공항(비행장), 금융기관, 의료기관, 교통·수자원 시설, 탄광, 통신 및 언론사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단전 제외대상은 1250만호 가량이며, 전체 부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1% 수준이다.

한편 육상과 사실상 전력망이 분리된 제주도는 별도계획에 따라 같은 방식으로 단전을 시행하게 된다.

이상복 기자 lsb@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