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모델 창출에 초점…“정책 융합 절실” 쓴소리도

패널들이 참석자들과 의견을 나누고 있다. (왼쪽부터 김우봉 건국대 교수, 김태유 서울대 교수, 이희범 포럼 의장, 이희국 lg사장, 안남성 에기평 원장)


공학한림원·에기평, 에너지테크 혁신포럼

[이투뉴스] 박근혜정부가 기치로 내걸은 ‘창조경제’를 성공적으로 이뤄내기 위해서는 에너지기술과 산업기술의 융합을 통한 비즈니스모델 창출에 초점을 맞춰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안정적이고 원활한 에너지 공급이 바탕이 돼야 하며, 세계적으로 에너지정책의 패러다임이 변화하는 가운데 우리만의 우선순위를 둔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그러나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이 창출돼도 정책과 제도가 이를 뒷받침해주지 못해 결실을 맺지 못하는 게 많다는 점에서 에너지기술과 산업기술의 융합에 더해 정책과 제도의 융합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에너지산업은 비즈니스 사이클이 매우 긴 만큼 장기적인 안목에서 이를 지켜보고 지원하는 정책적인 리더십이 아쉽다는 쓴소리도 나왔다.

이 같은 의견들은 에너지기술과 산업기술의 이종산업 간 융합을 통한 에너지기술의 혁신을 목표로 다양한 어젠다를 논의하기 위해 구성된 ‘Energy Tech 혁신포럼’에서 제시됐다. 에너지 테크 혁신포럼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에너지기술 및 산업기술 전문가와 대표기업을 포괄해 출범시킨 모임이다. 에너지와 부품소재, 에너지와 시스템, 에너지와 ICT, 에너지와 미래기술, 에너지와 인문사회 등 5개 분과로 구성됐다.

3일 조선호텔에서는 김재홍 1차관, 이희범 경총회장을 비롯한 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한국공학한림원과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주관으로 창립포럼이 개최됐다.

◆안정적 에너지공급이 우선순위
이날 포럼에서 주제발표자로 나선 김태유 서울대 교수는 창조경제의 성공적인 예로 에너지 혁명과 기술혁명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을 불러온 산업혁명을 들었다.

김태유 교수는 “세계적인 에너지정책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며 “에너지 공급의 경우 안정적 수급에서 신에너지자원 확대를 통한 성장동력화로, 에너지정책은 정부 주도에서 시장 주도로, 전력체계는 공급기술 중심에서 분산형을 통한 수요기술 중심으로, 기술개발은 단위기술에서 기술융합을 통한 비즈니스모델 창출로 정책적 우선순위가 달라지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에너지 자급률이 미미한 우리는 상황이 좀 다르다”고 설명하고 “안정적 에너지 수급, 정부 주도의 에너지정책, 공급기술 중심의 전력체계라는 기존 패러다임 아래 기술개발은 기술융합을 통한 비즈니스모델 창출로 정책의 우선순위를 쉬프트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부 주도의 에너지 공급정책을 강조한 배경에 대해서는 시장경제에 맡겼을 경우 성공의 이익보다 실패 대가가 너무 크고, 아직 우리 경제가 성장기에 있으며, 에너지의 안정적 공급이 창조경제의 원동력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정책과 제도 융합 병행돼야 성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에너지기술과 산업기술의 융합이 필요하다는 견해에는 패널과 참석자의 공감대가 형성됐으나 성공적인 결실을 맺기 위해서는 정책과 제도의 융합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패널로 나온 김우봉 건국대 교수는 에너지분야에서 성장동력을 만들어가야 한다며 종전에는 대기업이 중심이 됐지만 앞으로는 크리에이티브한 중소·중견기업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활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에너지기술과 산업기술의 융합은 새로운 변화를 가져오나 우리가 이런 변화를 맞을 준비를 갖췄는지는 생각해볼 일이라고 전제한 그는 융합이 아니고서는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데 아직 시장경제에 대한 신뢰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글로벌 마켓을 지향한 기술융합과 비즈니스모델 창출에 초점을 맞춰야한다고 강조하고 네트워크라는 점에서 다양한 이해관계를 정립하는 정책과 제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안남성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원장은 “공급위주로 가면 안정적 수급문제가 모두 해결될 수 있나하는 점을 고민해봐야 한다”며 “ICT분야에 첨단 하이테크가 많이 나오고 있으나 에너지분야에 접목되는 게 쉽지 않다”고 설명하고 “이는 장벽이 높기 때문으로, 이를 완화하기 위한 정책과 제도의 변화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또한 일반제품은 대체가 빠르게 이뤄지나 에너지는 그 기간이 매우 길다는 점에서 정책적인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채제용 기자 top27@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