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 기술개발과 경제성 확보, 정책적 지원 촉구

▲ 송진수 ess-신재생융합포럼 회장이 환영사를 하고 있다.

[이투뉴스] 지속가능한 에너지수요관리를 위해 메가와트(MW)에서 네가와트(Nega-W)로의 전환과 분산형 전원 확대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채희봉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수요관리정책단장은 26일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ESS-신재생 융합 창립 포럼 'ESS-신재생에너지 사업화 방향에 관한 정책 대토론회'에서 그동안 규제 위주의 정책으로 자발적 에너지절약 투자와 가격 매커니즘에 따른 민간수요관리 시장창출이 미흡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기존 공급 위주의 정책에서 수요·효율관리 중심의 에너지정책에 대한 패러다임의 전환이 중요하다고 강조한 것. 

▲ 채희봉 단장은 ess 확대를 통한 시장 육성을 강조했다.


채 단장은 'ESS-신재생 융합 정책현황' 주제발표에서 "에너지저장장치 주파수조정 보조서비스(FR ESS) 설치를 2015년까지 20~30만kW 설치 유도하겠다"며 "FR ESS의 확대를 위해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운영기준 및 정산 규칙 등을 제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ESS를 설치하는데 보통 15억~17억원 정도가 든다. 사업자들이 부담을 느끼는 것과 관련해 전력 피크시간대와 비 피크시간대에 차별적으로 요금을 부과하는 방안을 다음 달 발표할 예정"이라며 "ESS와 신재생을 융합 모델에 전력 피크시간대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가중치 2를 부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현재까지는 작은 용량으로 한전과 협의해가며 ESS를 활용했는데, 앞으로는 RPS 일정 물량을 ESS에 적용해 실증을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김광주 SNE 리서치 사장은 이어진 'ESS-신재생융합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안' 주제 발표에서 ESS는 초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언급했다. 시장 전망과 관련한 마이너스 요소로 경제성 확보의 어려움, 저렴한 국내 전기요금 등을 지적했다.

그는 "올해부터 2020년까지 정부가 10만~30만kW를 보급할 예정이며 이는 1000억원 규모"라고 말했다. 일본에서는 지난해부터 시장을 형성, 지난해 4월부터 내년 3월까지 210억엔(한화 2290억원)의 정부 보조금이 지원되고 있으며 미국은 캘리포니아주를 중심으로 내년부터는 피크 전력의 2.25%, 2020년부터는 5%의 ESS 설치 의무화를 시행할 예정이다.

김 사장은 "태양광 발전 FIT 도입 국가는 2000년 독일 1개국에서 2010년 34개국, 올해에는 57개국으로 증가했고, 연간 신규 설치량은 2000년 0.3GW에서 지난해 31.1GW로 약 103배 증가했다"며 정책적 지원이 활발해지면 ESS 시장은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전기 요금은 ESS에 유리한 방향으로 진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예상보다 배터리 가격이 빠르게 내려가고 있는 것이 플러스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ESS가 2020년 이후엔 필수품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투자회수기간이 5년 이내가 된다면 실현 가능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한 시장은 점차 보조금 시장에서 자생 시장으로 진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2020년 기준 ESS 전체 시장이 28GW에 이르고 중국과 인도 등 개발도상국이 신규 전력수요의 70%를 차지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 패널들은 ess 적용을 다양화해 경제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왼쪽부터)홍주한 sk이노베이션 상무, 김기홍 oci 상무, 김두훈 유니슨 사장, 송진수 ess-신재생융합포럼 회장, 정창현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관리과장, 송호준 삼성 sdi 상무, 김인환 한화 케미칼 상무, 이영호 한국해양대학교 교수

박상길 기자 gilgiza@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