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 잠재량 평가 결과…총에너지 40% 충당 가능
경제성 등 제약조건 감안 1/5 수준만 정책목표 반영

[이투뉴스] 우리나라의 신재생에너지 잠재량이 이론적으로는 연간 35만TWh에 달하고, 원별 경제성과 입지규제라는 제약조건을 감안한 시장 잠재량만 하더라도 1679TWh로 나타났다. 2035년 기준으로 국내 1차에너지 중 40%를 상회하는 수준이다.

하지만 출력이 일정하지 않은 태양에너지와 바람이라는 제약조건과 함께 계통연결 문제로 인해 실제 보급목표는 시장 잠재량의 5분의 1 수준만 반영, 과소책정 논란과 함께 신재생 보급에 대한 정책의지 실종이라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이같은 결과는 산업통상자원부가 2차 에너지기본계획 설정을 위해 에너지경제연구원과 에너지기술연구원에 맡겨 조사한 ‘신재생에너지 공급잠재량 평가’를 본지가 단독 입수한 내용이다. 산업부는 신재생 공급비중 설정에 있어 구체적이고 신뢰성 높은 보급 가능량을 확인하는 차원에서 잠재량 조사를 실시했다.


신재생에너지 공급 잠재량 평가와 관련 산업부와 연구기관은 의미가 혼재돼 사용되던 잠재량 개념을 4단계로 명확하게 다시 정의했다.

먼저 한반도 전체에 부존하는 에너지 총량을 의미하는 ‘이론적 잠재량’은 연간 34만8836TWh(약 300억TOE)로 조사됐다. 이중 해양에너지가 14만8836TWh로 42.5%, 태양광이 13만2245TWh로 37.9%를 차지해 비중이 높았다.

에너지 활용을 위한 설비가 입지할 수 있는 지리적 여건을 고려한 ‘지리적 잠재량’은 이론잠재량의 28.7% 수준인 연간 10만275TWh로 떨어졌다. 이 역시 태양에너지와 해양, 지열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에너지효율계수와 가동률, 손실요인을 고려해 현재의 기술수준으로 산출될 수 있는 ‘기술적 잠재량’은 연간 1만5421TWh로 나타났다. 태양에너지가 1만3503TWh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했고, 이어 해양(1177TWh)과 풍력(264TWh)이 뒤를 이었다.

마지막으로 기술적 잠재량에 경제성과 환경성까지 감안, 실제 공급 가능한 잠재량을 ‘시장 잠재량’으로 정의했다. 또 시장 잠재량은 보급확산을 위한 비용보조수단을 제외한 완전경쟁시장 환경에서 생산 가능한 에너지량으로 규정했다.

이 시장 잠재량은 2035년 기준 연간 1697TWh(1억5057만TOE)로 집계됐다. 이론적 잠재량의 0.5%에 불과하지만 이 정도로도 2035년 국내 총에너지를 40% 넘게 충당할 수 있는 양이다.

원별로는 태양광이 1350TWh로 가장 많고, 이어 지열 146TWh, 풍력 70TWh(육상 18.6, 해상 51.3), 해양 49.4TWh, 폐기물 35TWh, 수력 31.5TWh, 바이오 15.2TWh 순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2차 에기본에는 이같은 시장 잠재량 중 고작 5분의 1 가량만 반영, 1차에너지 중 신재생 비중을 11%로 정하는 방안이 굳어지고 있다. 정부는 시장 잠재량은 활용 가능한 최대치일 뿐 현실적인 보급잠재량은 보급추세와 가격, 시장수요 등을 감안해야 한다고 이유를 밝혔다.

현재 논의되는 신재생원별 비중을 보면 폐기물과 바이오가 대폭 줄어드는 대신 태양에너지와 풍력이 크게 증가한다. 2035년 1차에너지 기준 태양에너지가 23.7%, 풍력은 18.4%를 차지해 42%가 넘는다. 3차 신재생기본계획(2030년 기준) 때의 22.4%(태양 9.8%, 풍력 12.6%) 대비 20%포인트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반면 바이오는 2035년 20.8% 비중으로 3차 31.4% 보다 10%포인트 이상 끌어내렸으며, 폐기물도 33.4%에서 23.6%로 10%포인트 가량 비중이 축소됐다. 바이오와 폐기물을 줄이는 대신 태양광과 풍력으로 이를 메운 셈이다.

채덕종 기자 yesman@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