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공공기관 지방이전 일정·계획 총정리
거주환경·인재 유출·업무 비효율 개선 필요

▲ 에너지 공기업 언제, 어디로 가나 [그래픽=박미경 기자 pmk@e2news.com]

[이투뉴스] “언젠가는 가야겠지 했는데, 막상 눈앞에 현실로 닥치니 막막하네요. 요즘은 미리 이사 계획을 세워 아파트를 마련한 동료들이 부럽다는 생각도 듭니다. 한 1년 주말부부로 생활하면서 큰 애가 고등학교를 졸업하면 같이 내려가는 것도 생각중입니다.” (A 공기업 B부장)

‘공공기관 지방이전에 따른 혁신도시 건설·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의해 추진된 수도권 소재 공공기관의 지방이전이 올해부터 본궤도에 오른다. 산업통상자원부 소관 공공기관 중 지방이전 대상 기관·공기업은 25곳으로, 늦어도 내년말까지는 대부분 이전을 완료할 예정이다.

이로써 노무현 정부에 의해 잉태돼 이명박 정부가 타당성을 다시 짚다 현 박근혜 정부에 의해 쐐기가 박힌 국가 균형발전 정책은 2005년 이후 10여년의 자맥질을 종식하고 본격적인 지방시대를 맞게 됐다.

정부에 따르면 국가균형발전특별법상 중앙정부를 포함한 공공기관은 407곳이며, 이중 85%인 345곳이 수도권에 소재해 있다. 이중 세종시로 16개 부·처·청이 자리를 옮기고, 114개 기관이 혁신도시로 본사를 이전한다. 개별이전 대상은 발전자회사를 포함 18곳이다.

에너지 공기업의 경우 한전, 전력거래소, 한전KPS, 한전KDN 등이 광주·전남 혁신도시로 이전하고, 전북 혁신도시에는 전기안전공사가 새 둥지를 튼다. 가스공사는 대구 혁신도시로 이전하고, 가스안전공사는 이미 충북혁신도시로 이전을 마쳤다.

울산 혁신도시에는 에너지경제연구원, 석유공사, 에너지관리공단 등이 새 사옥을 짓고 있다. 이들 기관은 경주 이전을 완료했거나 예정중인 원자력환경공단과 한국수력원자력, 김천 혁신도시 이전기관인 한국전력기술과 함께 경남·북에 적을 두게 된다.

이밖에 자원개발 관련 공기업인 광물공사와 석탄공사, 광해관리공단 등은 ‘남한의 자원보고’인 강원도 원주 혁신도시에서 자원 공기업 클러스터를 구축하게 된다.

개별 이전기관으로 결정된 5개 발전 자회사들은 사업장(발전소) 인근 지방으로 뿔뿔이 흩어진다. 남부발전은 하동화력 인근 부산으로, 동서발전은 울산복합 인접 울산으로, 남동발전은 삼천포화력 인근 진주로, 서부발전은 태안화력 부근 태안시로, 중부발전은 보령화력이 있는 보령시로 각각 본사를 옮긴다.

정부는 이들 기관의 지방이전이 완료되면 수도권 공공기관 비중은 종전 85%에서 35%로 감소하는 반면 15%에 불과했던 지방비중은 65%까지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연간 9조원의 생산유발 효과와 4조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공공기관 지방이전 정책의 갈길은 아직 멀다는 게 대체적 평가다. 당장 에너지경제연구원·에너지관리공단 등 일부 기관은 기존 수도권 사옥이 팔리지 않아 이전에 차질을 빚고 있다. 부동산을 보유한 기관중 절반정도가 이처럼 자산 매각에 애를 먹고 있다.

지방 이주를 꺼리는 직원들의 인재유출도 가시화되고 있다. C기관의 경우 이미 10여명의 직원이 대기업이나 수도권 잔류 기관으로 이직했다. C사의 한 간부는 “인재의 남방한계선은 대전·충북 정도일 것”면서 “지방에서 일하느니 안정적 직장을 포기하는 게 낫다는 게 요즘 사람들 생각”이라고 쓴웃음을 지었다.

잦은 출장으로 인한 업무효율 저하를 걱정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D공기업에서 대관업무을 맡고 있는 E차장은 “KTX를 타고 올라와 국회에 들렀다 산업부가 있는 세종시에 가면 날이 저물 것”이라며 “서울사무소 설치가 안된다면 유관기관끼리 합동 사무실을 두는 것이라도 허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본지는 올해부터 서울을 떠나 지방경제의 일원이 되는 주요 에너지 공공기관·기업의 이전 일정과 신사옥 건축 현황, 이전 지역과의 상생방안 등을 살펴보고, 이를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는 지도로 정리했다.

이상복 기자 lsb@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