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욱 이투뉴스 발행인

[이투뉴스 사설] 오는 2021년 열리는 세계가스총회(WGC)를 대구로 유치하기 위한 본격적인 활동이 시작됐다. 한국가스연맹을 비롯한 가스업계와 산업통상자원부 및 외교부는 앞서 작년 11월 유치위원회 발기인 총회와 제 1차 유치위원회를 개최했다. 유치위원회는 지난 18일 제 2차 회의를 열어 단계별 유치 추진전략 등을 심도있게 논의하고 유치활동에 사용할 리플릿 등을 검토했다.

3년마다 열리는 세계가스총회는 전세계 80여개국의 가스관련 종사자 5000여명이 참석하는 국제 가스업계의 최대행사. 1931년 창설된 국제가스연맹에 우리나라는 1986년 가입했으며 그동안 집행이사국으로 활동해온 것은 물론 세계 제 2위의 액화천연가스(LNG) 수입국으로서 걸맞은 역할을 해왔다.

더욱이 2002년 처음으로 세계가스총회를 유치하기 위한 경선에 참가했으나 2차 투표까지 가는 경합 끝에 아르헨티나에 아쉽게 패배한 것을 비롯해 3년전인 2011년에는 2018년 세계가스총회 유치를 위해 뛰어들었으나 미국으로 결정나는 바람에 눈물을 흘려야 했다. 두 차례 실패한데 이어 평창 동계올림픽처럼 3번째 유치에 나선 셈이다.

가스총회 유치에 성공할 경우 국내 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는 생산 및 부가가치 유발효과 1193억원, 고용 및 취업유발효과 2478명에 이를 것으로 부산발전연구원은 추정하고 있다. 직접적인 경제효과를 떠나서라도 우리나라가 LNG 산업의 비중이 크고 선두를 달리고 있는 점에서 총회 유치는 꼭 필요한 일이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양의 LNG를 수입하고 있는 일본 역시 2003년 총회를 개최한 바 있다.

2021년 열리는 세계가스총회에는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 노르웨이와 러시아, 중국 등이 출사표를 내놓고 있다. 과거에도 유치전이 만만했던 것은 아니지만 이번에도 세계 최대의 가스 생산국인 러시아와 지구촌의 공장으로 불리는 중국이 참여했다는 점에서 녹록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다행스러운 것은 지난 두 차례의 유치 시도 때와는 달리 산업부, 외교부를 비롯한 정부부처가 전폭적으로 지지하고 있는데다 가스업계 등도 광범위하게 유치활동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는 점이다. 아울러 이번에는 동계 올림픽 유치경험이 있는 컨설팅사와도 계약을 체결해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접근하고 있는 점도 눈에 띈다.

오는 10월 베를린에서 열리는 회의에서 판가름 나는 2021년 세계가스총회 개최지를 두고 국가간의 경쟁이 이미 시작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두 차례 경험을 토대로 회원국의 성향 등을 정밀 분석하고 사정에 맞는 맞춤식 전략을 펴나갈 계획이다.

다만 최근 들어 벌어지고 있는 우크라이나의 크림공화국 사태가 세계가스총회 개최지 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전망과 분석도 정밀하게 이뤄져야 한다. 아울러 이웃 중국과는 다른 방향에서 서로 협조할 수 있는 길이 없는지를 함께 모색함으로써 서로 격하게 대립하는 일은 피해야 한다. 2차 유치위원회는 리플릿과 브로셔 제작 등에 있어서도 한치의 오차가 허용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오류를 시정하도록 조치했다.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