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의 핵 개발 야심은 지역 패권주의 욕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국내 석유사업의 파멸적 위기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미국 존스홉킨스대학의 로저 스턴 교수는 미 국립과학원회보(PNAS) 최근호에 발표한 논문에서 이란은 석유매장량이 풍부한 국가라는 이미지를 갖고 있지만 낙후한 기반시설과 투자 부족으로 에너지 위기를 맞을 처지라고 지적했다.

이란의 에너지 위기는 정권을 무너뜨릴 수 있는 파괴력이 있는 만큼 이란이 주장하는 소위 '평화적 목적의' 핵 개발을 거짓말이라고 단정을 짓기 어렵다는 게 스턴 교수의 지적이다.

그는 "이란 정권은 석유 수출로 벌어들이는 수입에 크게 의존하는 만큼 그들 주장대로 핵 발전소를 간절하게 필요로 하고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란의 석유 부족사태는 자초한 것으로 국영 석유회사가 국내에서 턱없이 싼 가격에 석유를 판매, 그만큼 수출을 통해 손실을 보전해야 하는데 인구 증가로 국내 손실분이 계속 증가하는 상황에서 정유시설과 파이프를 제대로 정비하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이란은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 가운데 사우디아라비아에 이어 두 번째의 석유수출국임에도 불구하고 국내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휘발유와 같은 석유제품을 수입해야 하는 처지라고 스턴 교수는 말했다.

1980년 이래 지금까지 이란에서 에너지 수요는 6.4%나 증가했는데 이는 공급 증가분 5.6%를 웃도는 데다 수출은 1996년을 고비로 정체돼 있는 것이 현실이다.

스턴 교수는 이러한 상황을 종합해 볼 때 유가의 기록적 상승으로 산유국들이 큰 이익을 봤음에도 불구하고 이란의 석유생산량은 실질적으로 감소했으리라고 추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1998~2004년 석유산업에 대한 투자도 원활하지 않았으며 앞으로도 외자 유치를 기대하기 어려운 만큼 핵 개발은 평화적 목적이라는 이란의 주장이 상당한 근거를 갖는 것으로 보이며 만약 그것이 사실이라면 이란 정권은 생각보다 더 취약할지도 모른다고 스턴 교수는 결론 내렸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