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실적 개선 기대감 반영돼 매수세 유입
“회사별로 실질적인 수혜 판단해야” 지적도
[이투뉴스] 도시가스공급비용이 조정되는 시기를 맞아 상장 도시가스사 주가가 강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이 같은 주가 움직임은 오랜 동안 묶여 있던 도시가스 요금이 인상되거나 인상안이 검토되면서 도시가스사의 경영실적이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수익이 기대되면서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회사별로 실질적인 수혜 판단해야” 지적도
지난 3년 간 도시가스공급비용을 동결했던 전남도는 가장 빨리 공급비용 인상을 결정했다. 전남도는 지난 5월 29일 소비자정책위원회에서 도시가스공급비용을 평균 2.01% 인상하는 방안을 심의해 의결했다.
서울시는 지난 6월 17일 물가대책심의위원회를 열어 오는 8월부터 도시가스공급비용을 ㎥당 49.30원에서 53.10원으로 3.8원 인상하기로 했다. 2001년 도입된 이후 조정이 없었던 기본요금도 13년 만에 840원에서 60원 올려 900원으로 조정했다. 기본요금 인상을 포함할 경우 공급비용은 ㎥당 4.46원 인상되는 셈이다. 서울시의 도시가스공급비용 인상은 2009년 이후 5년 만이다.
이어 대구시가 24일 지역경제협의회 공공요금 물가분과위원회를 개최하고, 올해 도시가스공급비용을 MJ당 0.1235원 올려 평균 소비자요금을 0.55% 인상하는 안을 승인해 7월 1일부터 시행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경남지역 지자체도 요금 인상을 검토하고 있고, 경기도와 인천시를 비롯해 충북지역과 전북지역도 도시가스 요금 조정에 대한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다.
이 같은 요금조정 소식에 도시가스사 주가는 지난 16일과 비교해 1~3% 대의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서울도시가스의 경우 지난 16일 12만2000원에서 24일에는 2.5% 오른 12만5000원에 거래가 이뤄졌다. 대성에너지도 6050원에서 요금인상이 발표된 24일 6240원에 거래를 마쳐 3.1% 올랐다. 이는 52주간 최고가가 6150원이라는 점에 비춰 확실한 모멘텀을 보여줬다는 평가다.
또한 경기도를 공급권역으로 하는 삼천리는 14만6000원에서 24일 종가 기준 15만1500원을 기록해 3.8% 올랐으며, 부산도시가스는 16일 3만9000원에서 24일에는 1% 오른 39400원에 거래됐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요금 조정폭 만큼 도시가스사별로 실질적인 수혜가 가능한지를 판단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미 수개월 간 도시가스주가가 상당폭 오른 만큼 예견된 인상요인이 이미 반영됐거나, 아직 공급비용 조정이 결정되지 않은 곳은 확실성이 떨어진다는 분석이다.
공급권역이 같은 서울지역이면서도 서울도시가스와는 달리 예스코가 요금인상이 결정된 다음날인 18일 3만8400원을 찍은 후 24일 종가가 3만7550원으로 크게 내려간 것이나, 요금인상이 불투명한 인천도시가스가 5월 29일 3만3950원으로 고점을 찍은 후 24일 기준 3만3250원으로 떨어진 것이 이를 방증하고 있다.
채제용 기자 top27@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