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스피 해 자원의 보고…매혹의 나라

한국석유공사를 주축으로 한 한국컨소시엄이 카자흐스탄 카르포브스키(South Karpovsky) 가스전 개발사업에 참여한다. 이로써 우리 기업의 카자흐스탄 참여 사업은 총 7개로 확대됐으며 우리나라가 카자흐스탄에서 확보한 에너지의 총량은 약 13억3000만배럴로 늘어나게 됐다.


이에 앞서 석유공사 등을 주축으로 한 컨소시엄이 카스피 해 잠빌광구(추정 매장량 10억배럴)의 지분 27%를 확보해 개발에 나섰고 LG상사는 악토베 근처의 3개 광구의 지분을 확보했다.


또한 제2의 중동이라 불리는 카스피해 지역에 신규 유전개발 사업 참여를 적극 추진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올해만 카자흐스탄에 4개의 신규 유전개발 사업에 참여하는 성과를 올렸으며 특히 올 6월에는 매장량이 1억7000만배럴인 것으로 추정되는 카자흐스탄 아다(ADA) 광구에서 하루 740배럴의 석유가 생산가능한 유전을 발견하기도 했다.

 

◆천연가스 부국

석유ㆍ가스 자원의 새로운 보고인 카스피 해의 최대 영해를 보유하고 있는 카자흐스탄은 독립 이후 세계 석유메이저를 유치 또는 유전 개발에 직접 나서기 시작해 지난해 기준으로 6300만톤의 원유와 235억㎥의 천연가스를 생산하는 주요 에너지 생산국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동안 카자흐스탄의 원유증산을 제약하던 원유수출  파이프라인이 확보돼 원유생산은 높은 증가세를 보이는 가운데 카자흐스탄 정부가 러시아ㆍ아제르바이잔ㆍ이란ㆍ중국 등 인접국과 협력해 운송 인프라 확보에 주력하고 있으며 이는 상당수 성과를 거둬 원유 수출량은 높은 증가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반면 천연가스의 경우 1999년부터는 생산이 급증해 2004년부터 생산량이 소비량을 넘어섰으나 내수 및 수출 운송 인프라를 확보하지 못한 상황이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우즈베키스탄 등으로부터 천연가스를 수입하고 자국 가스는 러시아의 파이프라인을 통해 수출하는 체제가 계속돼 운송인프라 부족이 천연가스의 증산과 수출 확대를 제약하는 요소로 남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카스피 해의 맹주?
러시아ㆍ카자흐스탄ㆍ투르크메니스탄ㆍ아제르바이잔ㆍ이란으로 둘러싸인 카스피 해에는 750억배럴의 석유와 6조9000억㎥의 천연가스가 매장돼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카스피 해 연안 5개국 중 해안선 기준으로 최대 영해를 보유하고 있는 국가는 카자흐스탄이다. 카자흐스탄은 구소련 당시 연방 내 개발 순위에서 밀려 에너지 개발이 지지부진했으나 독립 이후 카자흐스탄 정부는 세계 석유메이저를 유치 또는 국영 석유ㆍ가스 기업을 통해 카스피 해 유전 개발에 직접 나서기 시작했다.


그 결과 1990년대 초 일산 41만5000배럴에 불과했던 카자흐스탄의 원유생산량은 매년 15%의 성장을 보여 2005년 현재 일산 129만배럴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에너지 개발에 힘입어 카자흐스탄은 10%에 육박하는 높은 경제성장을 이어나가고 있다.

 

◆규제와 외자 유치의 미묘한 균형
카자흐스탄은 독립 이후 자립 경제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카스피 해 연안의 석유 및 천연가스 자원을 개발해 주로 유럽지역에 수출한다는 전략을 추진했다. 수출입은행의 유재형 전문연구원은 "자금력과 기술력이 절대 부족한 상황에서 유전개발을 위한 외국자본의 도입은 필수적인 조건이었다"면서 "카자흐스탄은 독립 이래 석유ㆍ가스 개발 부문에 외국자본을 도입하기 위한 관련법 제정 등 투자환경을 정비해 왔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2003년 이후 고유가가 계속되면서 관련법이 외국인투자기업에 지나치게 유리하다는 의견이 나오기 시작하자 카자흐스탄 정부는 2004년 1월 누진세가 적용되는 것을 골자로 관련법을 정비했다. 이 관련법에 따르면 모든 원유수출자는 배럴당 19달러 수준에서는 1%의 원유수출세를 내고 배럴당 40달러가 넘어갈 경우 33%의 세율을 적용받게 됐다. 또 2005년에 카자흐스탄의 국영 석유ㆍ가스 기업이 최소한 50% 이상의 지분을 보유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은 신규 생산재분배(PSA) 계약에 대한 규제 사항을 추가했다.


하지만 카자흐스탄의 이러한 조치가 외국인투자 감소를 초재하지 않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유전문연구원은 "카자흐스탄 정부가 법제 및 세제를 자국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일부 개정하려고 노력하고 있기는 하다"면서도 "그러나 외국인 투자자들의 불만이 고조되자 카자흐스탄 정부는 세제를 다시 조정, 개선하는 등 여전히 외국자본 유치에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는 카스피 해 유전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계속될 것이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2015년 원유생산량 1억5천만톤 목표
카자흐스탄은 지난해에만 6300만톤의 원유를 생산했지만 원유 소비량은 1000만톤에 머물고 있다. 파이프라인 등 원유수출을 위한 운송인프라가 확보대 카자흐스탄은 지난해 생산량과 소비량의 차이만큼인 5015만톤의 원유와 225만톤의 응축물을 수출, 총 174억달러 가량을 수출했다.
카자흐스탄은 북쪽은 러시아를 통해, 서쪽은 파이프라인 또는 아제르바이잔을 통해, 남쪽은 이란과의 스왑거래를 이용해 페르시아만을 통해 수출을 하고 있다.


또 카자흐스탄은 일일 3만배럴을 중국의 아라산커우 철도를 이용해 수출하기도 했다. 카자흐스탄은 동서남북으로 특히 중국을 향하는 동쪽으로 수출을 위한 운송 인프라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윤전문위원은 "2015년까지 원유생산량을 1억5000만톤으로 확대하려는 '중장기 카스피 해 개발 계획'도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어 원유 수출량은 높은 증가세를 이어갈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다양한 수출선 확보 노력
최근 카자흐스탄은 석유 일변도의 에너지개발 정책에서 탈피하고 있다. 석유기업 등에 천연가스 이용 프로젝트를 의무적으로 포함하는 등 천연가스 생산에도 관심을 가지면서 2004년부터 가스 생산량이 소비량을 넘어서지 시작했다. 카자흐스탄은 지난해에 154억㎥를 수출하고 112억㎥를 수입했다.


최대 가스 생산지인 카라차가나크(Karachaganak)에서 생산되는 대부분의 가스는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원유와 마찬가지로 접경지력인 러시아의 오렌버그 가스플랜트에서 가공되고 있다. 올해 10월 합의사항에 따라 러시아의 국영 가스기업인 가즈프롬은 카자흐스탄으로부터 가스 1000㎥당 140달러에 수입할 계획이며 카자흐스탄은 오렌버그의 신규 가공시설의 50% 지분을 확보할 계획이다. 오렌버그로 운송될 가스는 현재 연간 70억㎥ 수준이며 향후 최대 150억㎥에 이를 전망이다.


하지만 카자흐스탄은 카라차가나크(Karachaganak)를 포함한 주요 가스 생산지와 주요 소비지역인 북부 및 남부 도시지역을 잇는 운송 인프라가 정비되지 않아 이들 지역 소비를 위해 우즈베키스탄 등으로부터 천연가스를 수입하고 있다. 향후 카자흐스탄 남부의 아망엘디 가스전이 생산을 시작하면 우즈베키스탄 등으로부터의 가스수입량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지만 이를 위한 운송체계도 아직 부족한 상태라고 윤연구원은 귀띔했다.


따라서 카자흐스탄이 15개년 계획대로 천연가스 생산량을 520억㎥까지 끌어올린다 하더라도 운송 인프라를 확보하지 못한다면 우즈베키스탄 등으로부터 천연가스 수입을 계속할 수밖에 없어 운송 인프라 부족이 천연가스의 증산과 수출 확대를 제약하는 요소로 남게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대부분의 카자흐스탄 가스의 수출은 러시아의 파이프라인을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파이프라인의 주목적은 투르크메니스탄에서 생산된 천연가스를 러시아에 수출하는 것이므로 카자흐스탄산 천연가스 수출을 위한 역할은 한정적이라는 지적이다. 윤연구원은 "카자흐스탄 정부는 러시아를 거치지 않고 다양한 수출활로를 확보하기 위해 중국 등과 협의를 계속할 것"이라며 "이와 동시에 러시아의 가스관 활용을 늘리는 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인프라 시설을 노려라
카자흐스탄의 운송 인프라 시설에 대한 투자를 늘리는 상황에서 우리 기업도 이 부분에 관심을 갖고 진출을 모색해야 한다는 게 윤전문연구원의 조언이다.
그는 "국내 업체가 진출하기 위해서는 카자흐스탄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파이프라인과 선적터미널과 같은 운송 인프라 시설이나 정유 플랜트 시설에 역점을 두고 진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카자흐스탄 정부는 아시아지역 수출 다변화를 위해 파이프라인을 증설할 계획 중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원유산업의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한국식 정유시설개발에 관심을 갖고 계획을 추진 중이다.


윤전문연구원은 "카자흐스탄의 운송 인프라 문제는 향후 2~3년 안에 단기적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닌 만큼 주의 깊게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