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관련 논문 종합분석 결과…과학적으로 심각성 확인
환경부·기상청, ‘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2014’ 공동 발간

[이투뉴스] 기후변화와 관련된 각종 논문과 보고서 등의 연구를 집대성한 결과 우리나라의 기온 및 해수면 상승률 등이 전지구적 평균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반도가 기후변화의 복판에 있으며, 심각성도 크다는  것이 과학적으로 어느 정도 증명된 셈이다.

환경부(장관 윤성규)와 기상청(청장 고윤화)은 우리나라 기후변화의 과학적 근거와 영향, 적응 등과 관련한 연구결과를 정리한 ‘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2014’를 공동으로 발간, 24일 내용을 공개했다.

이 평가보고서에는 한반도를 대상으로 2014년까지 발표된 2500여 편의 국내외 논문과 보고서의 연구결과를 분석·평가한 한국 기후변화 연구동향과 전망을 집대성했다. 참고 논문과 보고서는 과학적 근거에 대한 내용이 1023편, 영향과 적응 부문이 1521편이다.

보고서 작성에는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적 근거 전문가 80명과 영향 및 적응 전문가 75명 등 분야별 전문가 155명이 참여했다. 특히 전문가 의견수렴을 통해 연구결과 신뢰도를 견고한 동의, 중간적 동의, 제한적 동의 등 3단계로 평가·제시했다.

이중 견고한 동의는 관련 분야 논문(또는 전문가 의견)의 수가 많고 배치되는 내용 없이 일치하는 경우를, 중간적 동의는 논문의 수는 어느 정도 되지만 증거를 판단하기 어렵거나 전문가 사이에서도 소수지만 다른 의견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제한적 동의는 논문의 수가 아주 적거나 논문의 내용과 의견이 서로 달라서 신뢰도를 판단하기가 어려운 경우를 묶었다.

◆우리나라 기온 및 환경변화 심각 =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연평균 기온과 해수면의 상승이 관측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주요 원인은 인위적인 온실가스 증가에 의한 영향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화석연료의 연소와 토지이용 변화로 인해 이산화탄소 방출이 증가하고,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도 주요 원인인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 우리나라의 연평균 기온은 1954년부터 1999년에는 10년 단위로 0.23℃ 올랐으며, 1981년부터 2010년에는 0.41℃/10년, 2001년부터 2010년에는 0.5℃ 등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온실가스 증가로 한반도 기온이 상승한다는 연구결과는 전문가들로부터 ‘중간적 동의’를 얻었다.

우리나라 주변 해양에서의 수온과 해수면 상승률도 전지구 평균인 0.85℃, 1.4mm/년 보다 약 2∼3배 높은 것으로 관측됐다. 또 동해의 표층 이산화탄소 증가도 전지구 평균보다 2배 높다는 의견에 전문가들은 ‘견고한 동의’를 표시했다.

아울러 기후변화로 인해 우리나라는 생태계 분포와 종 변화, 식량생산 저하, 질병발생 및 사망자 증가, 지역·산업별 갈등 증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견고 또는 중간적 동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5차 보고서를 토대로 추정한 결과 폭염에 의한 서울지역 사망자는 현재(2001∼2010년)대비 미래(2036∼2040년)에 인구 10만 명당 0.7명에서 1.5명으로 약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기후변화로 인한 홍수와 가뭄이 빈번해지겠으며, 특히 가뭄은 봄철과 겨울철에 심화 될 것으로 전망됐다(견고한 동의). 더불어 도시지역이 상대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에 더 취약(견고한 동의)하고, 저소득계층이 밀집한 지역에서 그 피해가 증가할 것(중간적 동의)으로 예상됐다.

◆기후변화 정책 지원 및 협력 필수 = ‘산업 및 에너지’ 부문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가 규모와 현황, 업종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것으로 전망돼, 각 산업별 특성을 고려한 적응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실제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교통혼잡비용이 7조2670억원으로 예상되며, 부산(해운대구)지역의 경우 해수면이 1m 상승할 경우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액은 3963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는 결과도 나왔다(중간적 동의).

보고서는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별 영향 및 취약성 평가를 바탕으로 한 정책과 제도 마련이 필요하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각 분야별 협력방안을 제시했다. 특히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향후 기후변화 적응전략 및 적응기법에 관한 다양한 연구와 함께 정책적 관심을 한층 높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정은해 환경부 기후변화협력과장은 “추가 배출을 줄이더라도 누적된 온실가스 영향으로 우리나라에서의 부정적 영향은 지속될 전망”이라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이행가능 한 적응계획 수립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채덕종 기자 yesman@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