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공능력은 점차 축소 환경변화에 적절히 대응해야

참여정부 들어 전국적으로 유례없는 20여개의 대규모 개발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나 정작 건설경기는 침체를 면치 못하고 있어 건설사들이 개발사업에 대한 참여 방식 다각화로 환경변화에 대응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2006년 현재 전국적으로 총 18건의 정부 주도 대규모 개발사업이 진행 및 계획 중이다.


구체적으로 행정중심복합도시(2212만평), 혁신도시(9개 지역, 평균 196만평), 경제자유구역 개발(3개 지역, 평균 4000만평), 제주국제자유도시 개발(33만평 첨단과학기술단지, 22만평 휴양형 주거단지, 124만평 신화-역사공원 조성, 5만평 쇼핑아웃렛, 1.7만평 서귀포 관광미항)된다.


또한 민간 주도의 대규모 개발사업은 기업도시 개발방식으로 현재 6개의 시범사업이 추진 중에 있다.


구체적으로 전남 무안(산업 교역형 1,220만평), 충북 충주(지식 기반형 210만평), 강원 원주(지식 기반형 100만평), 전북 무주(관광 레저형 245만평), 해남ㆍ영암(관광 레저형 1000만평), 태안 지역(관광 레저형 473만평) 등이다.


이외에도 '지역특화발전특구에 대한 규제특례법'에 의한 지역특화발전특구가 총 48개 지정되어 추진 중이며 '지역균형개발 및 중소기업육성에 관한 법률'에 의한 개발촉진지구 개발사업이 추진 중에 있다.


또한 낙후 지역형(총 31개 지정, 27개 지구 개발계획 수립), 균형 개발형(2개 지구, 1개 지구 기본계획 수립), 도농 통합형(2개 지구, 1개 지구 기본계획 수립)이 있다.


이밖에도 지자체 차원에서 민간 투자자를 선정하여 추진되는 다양한 지역 숙원사업이 개별적으로 추진 중이다.


경기도 고양시 한류우드 개발사업, 부산 북항 재개발사업, 창원 컨벤션센터 개발사업, 함양 다곡 리조트 개발사업, 둔내 자연휴양단지 개발사업, 대전 민자역사 개발사업 등이다.


그러나 각종 건설지표에 따르면 이 같은 대규모 개발공사의 진행에도 건설경기는 최근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건설경기의 침체 원인으로 건산연은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대책 등으로 민간 건축경기가 위축되고 있고 각종 개발사업에도 점차 디벨로퍼(개발자)나 재무적 투자자들의 참여가 증가하면서 건설회사의 위상은 '시공 부문'으로 오히려 축소되고 있다고 전했다.


과거에는 시공사인 건설회사가 각종 개발사업에서 사업 주체로서의 역할을 담당했으나 최근에는 재무적 투자자, 디벨로퍼 등이 사업 주체로서의 역할을 확대해 나가고 있으며 앞으로는 지역 사회 주민이나, 시민단체, 지역 내 기업 및 상공인 등도 각종 지역 개발사업의 참여 주체로 포함될 것이라고 건산연은 전망했다.

 
이에 따라 건산연은 건설사들이 개발사업에 대한 참여 방식 다각화로 환경 변화에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를 맡은 김현아 건산연 박사에 따르면 사업의 규모가 대형화되면서 동시에 리스크도 많이 증가, 컨소시엄 등의 구성을 통한 사업의 리스크 분담과 관리가 필요하며 대규모 개발사업은 투자 자금의 회수 기간이 장기간 소요되므로 사업의 자금조달을 단계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또한 대규모 개발사업은 다양한 사업 주체와 이해 관계자들의 갈등이 불가피하므로 사업 추진에 따른 갈등 관리가 성공적인 사업 추진의 요건이 될 것이며 최근 많이 증가하고 있는 공공-민간 파트너십의 사업 형태를 활용하여 사업추진 모델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김박사는 "앞으로 건설업체들의 '시공 중심'의 참여는 점차 그 역할과 범위가 축소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건설사들이 대규모 개발사업에 적합한 사업구조와 비즈니스 모델을 정립하는 노력이 요구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향후 대규모 개발사업에서 건설회사의 사업참여 방식은 단순 '시공 중심'에서 '부가가치 창출'로 전환이 바람직하다"며 "건설사들에는 향후 종합적인 사업 기획능력과 시장분석, 향후 자산관리 등의 종합적인 사업 관리 능력(Project Management)의 배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