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부터 3년 연속 열판매 감소, 전기판매도 증가세 꺾여
열병합발전의 편익 내재화·홍보 강화 통해 국민과 함께 가야


다양한 편익 불구 사업여건 갈수록 악화…가치 제대로 대접해야

[이투뉴스] 산업단지 집단에너지사업은 대표적인 분산전원이자, 전기와 열을 동시에 생산하는 열병합발전의 장점을 가장 잘 접목시킨 분야로 손꼽힌다. 우선 에너지이용효율 극대화를 통해 에너지사용량을 줄이는 한편 각종 오염물질 및 온실가스를 감축, 환경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에 전력부문에서 송·변전시설 회피 및 전력계통안정 등의 분산전원 편익도 무시할 수 없다. 특히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에너지비용을 대폭 줄여 산업경쟁력 확보에도 큰 기여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열수요는 경기침체와 따뜻한 날씨 등으로 3년 연속 감소하면서 국내 집단에너지산업이 성장단계를 넘어 성숙기에 접어들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지역난방 분야 뿐 아니라 사업장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산업단지 분야도 수요가 줄었다는 것이 이채롭다. 수요가는 증가하는데도 불구 열수요가 완만한 하강곡선을 그리고 있다.

미래 사업여건마저 호락호락하지 않다는 것이 더 크 문제다. 당장 전력시장 외부환경 변화로 SMP(계통한계가격)가 추락하고 있고, 열병합발전소의 가동률 또한 향후 낮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지역자원시설세, 배출권거래제 등 비용증가 요인도 곳곳에 산재한다. 여기에 산업단지 열병합발전의 경우 국내 제조업의 경쟁력 하락에 따른 해외이전으로 인해 갈수록 위기 상황에 몰릴 것이란 전망도 설득력을 얻어 가고 있다.

◆다양한 편익 불구 열 및 전기 판매량 감소세
산업단지 집단에너지는 전기와 열을 동시에 생산하는 열병합발전 효과 및 집합공급체계를 통해 다양한 편익을 제공한다. 산업부는 제4차 집단에너지 공급 기본계획을 통해 산단 열병합의 에너지사용 절감량이 2014∼2018년 모두 1064만TOE로 추정하는 등 개별에너지시설 대비 15.8% 가량 절감한다고 발표했다. 또 산업단지부문 3대 대기오염물질 배출절감량은 2014∼2018년 사이에 25만3808톤으로 추정되는 등 23.9%를 절감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온실가스 배출절감량 역시 2018년까지 4208만톤으로, 절감률 18.6%를 기록했다.

▲ 산단 열병합 에너지 절감 및 환경개선 효과


여기에 산업단지 집단에너지사업은 산단 내 입주기업의 에너지비용 절감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열병합업계는 만일 입주기업들이 보일러 등 개별 에너지시설을 갖출 경우 최소 2배에서 최대 3배 가량 에너지비용이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아울러 연료수급 및 저장시설 설치, 이를 위한 운반차량 이동 등까지 감안하면 국가적인 편익도 크다. 그렇지 않아도 갈수록 약화되는 제조업 경쟁력을 지키는 최후의 보루 역할을 하고 있다는 의미다.

반면 열 및 전기 판매량 추이는 좋지 않은 상황이다. 지난 2013년 국내 집단에너지사업자의 열 및 전기판매량은 6451만Gcal로 나타났다. 이중 지역난방부문이 54.5%, 산업단지부문이 41.5%, 지역난방 및 산업단지 병행부문이 3.9%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냉난방부문과 산업단지 간 열판매량은 각각 2070만Gcal, 1820Gcal로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전기판매량은 지역난방이 1737MWh, 산업단지가 1000MWh로 적잖은 차이가 발생했다.

이중 산업단지부문은 1820만Gcal의 열을 모두 산업용으로 판매했고, 전기판매량 1000만MWh 중 한전 역송이 34.0%, 수용가 직판이 66.0%를 차지하는 등 전체적으로 직판비율이 역송을 압도했다. 이는 지역냉난방과 달리 산업단지의 경우 수용가에게 열과 전기를 함께 공급하는 사례가 그만큼 많다는 의미다.

사업자별로는 열판매의 경우 GS E&R(옛 STX에너지)이 20.3%의 점유율로 수위를 차지했으며 군장에너지(12.3%), 씨텍(10.4%), 한주(8.4%), 대구염색단지공단(8.2%), 금호석유화학(6.3%) 순으로 조사됐다. 전기판매량은 2013년 한 해 동안 217만MWh를 판매한 한화에너지(점유율 21.6%)와 213만MWh를 판매한 씨텍(21.3%)이 1위를 놓고 치열하게 경쟁했다. 이어 한주(18.7%), GS E&R(9.8%), 금호석유화학(9.3%)의 순으로 확인됐다.

국내 집단에너지 열판매량은 2011년 4467만Gcal를 기록한 이후 2012년 4.4%, 지난해 3.7%가 각각 줄어드는 등 2년 연속 감소해 열수요가 성숙기를 넘어 하향안정추세에 접어들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지역냉난방과 산업단지, 병행사업자 모두 열판매량이 감소했다. 특히 산업단지 내 열수급업체(병행 포함)가 85곳이 늘어난 840개소에 달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수요가는 늘었는데 판매량은 오히려 감소하는 역진성을 보이고 있다.

그동안 전력수급이 여의치 않으면서 지속적으로 늘었던 집단에너지사업자의 전기판매량도 2013년 2775만MWh로 2012년 2845만MWh보다 2.5%가 감소, 증가세가 꺾였다. 2010년 2067만MWh 수준이던 전기판매량은 전력수급위기로 2011년 2596만MWh, 2012년 2845만MWh 등으로 치솟은 바 있다. 2014년 역시 기저전력이 대거 들어오면서 열병합발전소의 급전지시가 줄면서 2500만MWh 이하로 떨어질 것이란 분석이다.

▲ 국내 집단에너지 판매량 추이


◆제대로 된 열병합발전 편익보상이 열쇠
열수요는 성숙단계에 접어들면서 크게 늘지 않은데다 전기판매 역시 가동률은 낮아지고, SMP까지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여기에 열병합발전소에 대한 대국민 인식이 변하면서 민원이 늘어나 연료선택까지 제약을 받는 상황에 이르렀다. 내·외부 사업여건이 시간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는 셈이다.

집단에너지 연료의 경우 지역냉난방 부문은 이미 LNG 비중이 93.6%에 달해 열요금 인상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청정연료 의무사용대상에 포함된 것이 영향을 미쳤다. 다행히 산업단지와 병행부문의 경우 LNG가 아닌 석탄과 석유제품을 주로 사용하고 있지만, 향후 청정연료 사용압력이 갈수록 거세질 것이란 점에서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결국 산업단지의 경우 고가의 LNG를 연료로 사용해서는 경쟁력을 갖추기 힘들다는 점에서 정부 차원의 연료다변화에 대한 보장과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다. 더불어 갈수록 확보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우드칩을 포함한 폐기물고형연료의 사용에 있어서도 열병합발전에 우선권을 부여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다.

▲ 집단에너지 연료 사용량

전력당국이 산업단지 석탄열병합에 대해 VC제도 편입을 권유하는 것도 중요한 변수다. 아직은 권유에 그치고 있지만 점차 압박이 심해지는 것은 물론 강제화 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과거에도 집단에너지사업자가 운영하는 석탄열병합이 초과이익을 보고 있다며 보정계수 도입을 주장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흘려들을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업계는 지금까지 산업단지 집단에너지사업의 경우 충분한 자율성을 부여했기 때문에 지금까지 꾸준하게 성장해왔다고 말한다. 실제 한주, 대구염색단지조합 등 상당수 집단에너지업체가 열수요자 스스로가 설립, 운영하고 있다는 것만 봐도 산단열병합의 특성이 잘 드러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VC제 편입 등 인위적인 상황에 몰아넣기 보다는 시장에 맡기는 것이 산업단지 입주업체의 경쟁력 강화에 오히려 도움이 된다는 주장이다.

찾기가 매우 힘들어졌지만, 외부로부터 저가열원을 받는 노력도 뒤따라야 한다. 하지만 근래 들어 소각열 등에 대해 선점경쟁이 벌어지면서 마찰도 발생하고 있다. 조금이라도 비싸게 팔기 위해 수요처에 직접 공급을 추진하는 사례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외부 수열의 경우 집단에너지사업자를 통해 이를 공급하도록 의무화, 수요가 전체가 저가열원에 대한 혜택을 입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집단에너지사업의 경쟁력 확보와 보급 확대를 위해선 이용효율 제고에 따른 에너지절감효과를 비롯해 오염물질 배출저감수단 등 집단에너지 편익을 내재화시키기 위한 지원이 강화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또 송전망 건설회피 및 전력계통 안정화 등 열병합발전의 계통편익 역시 전기요금에 제대로 반영해야 한다는 지적도 공감대가 높아지고 있다.

실제 EU 등 선진국에서 고효율 CHP를 신재생에너지와 동등하게 대접하고 있다. 열병합발전이 에너지절감 및 온실가스 배출에 있어 원천적인 저감시설이라는 것을 인정,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서다. 따라서 우리나라 역시 열병합발전소를 화력발전소에서 별도로 분리, 배출권거래제 및 지역자원시설세 등 현재 일반 발전소와 동일하게 규제를 받고 있는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이처럼 장점이 많은 집단에너지가 국민들에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도록 실상을 알리는 노력도 강화돼야 한다는 진단이다. 이는 단순히 민원해소와 연료다변화를 위한 포석에만 그치지 않는다. 환경개선에 앞장서는 것은 물론 가정과 산업체에 저가의 고급에너지를 공급함으로써 대국민 서비스 제고와 산업경쟁력 강화를 이끌고 있는 집단에너지의 미래를 위해선 꼭 필요하기 때문이다.

채덕종 기자(yesman@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