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투뉴스] 올 초 북한 나선경제특구에서 전력공급사업 타당성 조사를 벌인 바 있는 러시아 한 전력회사가 대북송전사업과 북한내 화력발전소 건설사업을 추진중이란 소식이다. 만성적 전력난에 시달리고 있는 북한이 전기요금 대신 구리와 같은 자원을 제공하는 형식으로 전해진다. 예정대로 내년에 이 사업이 완료되면 특구지역 일대는 러시아 전력계통에 편입된다.

외신들이 이런 소식을 타전할 즈음 우리나라는 2029년까지의 장기전력 정책계획인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확정하고 있었다. 특히 이번 계획에선 수요대비 공급예비력이 과도할 것이란 지적이 잇달아 제기돼 한창 논쟁이 일었다. 인접국에 자원을 내주고 전기를 수입하는 북한과 발전소가 남아도니 그만 짓자는 남한의 대조적 상황이 안타깝지 않을 수 없었다.

전력계통 전문가들로 구성된 학술연구단체 ‘네토피아’가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북한은 전력공업성이 62개 주요발전소와 58개 1차 변전소, 11개 지역급전지령소를 관할하며 발전-계통운영-송전을 책임지고 있다. 전체 설비용량은 7200MW로 추정되며, 이중 4870MW가 이용률이 30~40% 불과한 일제시대에 지어진 낡은 수력발전기로 알려지고 있다. 

게다가 발전소의 절반이 평양과 멀리 떨어져 송전손실이 크고 전압조정이 쉽지 않은데다 2960MW규모의 나머지 석탄화력 역시 30~40년 이상 노후화 돼 당 지휘부와 군수공장, 평양을 제외한 지역은 제한송전과 단전이 일상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우리 전력산업과 비교하면 설비규모는 12분의 1에 불과하고, 실제 발전량은 20분의 1을 밑돌 것이란 분석이다.  

통일은 아직 멀리 있거나 아니면 가까워 지고 있다는  등 평가는 다르지만 대한민국의 미래다. 단계적 흡수 방식이든, 북한 급변사태에 따른 급진 방식이든 터널로 들어선 기차가 언젠가 어둠속을 벗어나듯 현실화 될 수밖에 없고 반드시 그렇게 만들어야 한다. 그런 맥락에서 2007년 개성공단 대북송전으로 꿴 남북간 에너지 교류의 첫 단추를 향후 석탄, 광물자원 등으로 자연스레 이어나갈 방안이 필요하다.

특히 전력은 어떤 형태의 통일이든 가장 우선적으로 공급돼야 할 에너지로 철저한 사전 계획이 필요하다. 박근혜 정부는 임기초  ‘평화통일 기반구축’을 핵심 국정과제를 제시했다. 각 행정부가 어떻게 이를 이행하고 있는지 중간점검해 볼 때가 됐다. 이 과정에 '컨틴전시 플랜' 수준인 북한정변 시 전력공급 계획을 전력수급계획 수준으로 구체화해  그려보는 것도 의미가 클 것이다.

이상복 기자 lsb@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