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가격경쟁력 열세로 판매 감소세 가속” 한숨
연동제 따른 조정 불가피 속 인상폭 최소화 바랄뿐

[이투뉴스] 도시가스 도매요금이 내달 1일부터 약 9%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5월 인하된데 이어 넉 달 만에 인상으로 전환되는 것이다. 이 같은 수준의 요금조정이 이뤄지면 소비자요금은 서울시 기준으로 4~5% 안팎 오르게 된다.

문재도 산업통상자원부 제2차관은 26일 한국가스공사가 적자 해소와 3조4000억원의 미수금 해결 등을 위해 천연가스 요금을 인상해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면서 원가를 반영해 어느 수준의 인상이 이뤄질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다만 여론 등을 주시하며 인상폭을 고민 중으로, 두 자릿수는 어려울 것 같다고 밝혀 사실상 한 자릿수 인상률을 시사했다.

현재 한국가스공사가 원료비 인상요인을 제때 반영하지 못해 발생한 미수금은 약 3조4000억원. 국제유가가 가파르게 상승하던 2008년 3월 이후 원료비 연동제가 중단되면서 미수금이 2012년 말 기준 5조5400억원까지 늘어났다가 2013년 2월 다시 원료비 연동제가 적용되면서 미수금 규모가 줄었다.

도시가스 도매요금은 원료비 연동제로, 홀수 달마다 산정된 원료비 변동률이 ±3%를 초과하면 이를 요금에 반영하게 된다. 도시가스 원료인 LNG도입가격은 통상 국제유가와 3~4개월의 시차를 두고 변동하는데 지난해 10월 이후 하락하던 국제유가는 두바이유 기준으로 올해 1월 배럴당 평균 45.77달러에서 2월 55.69달러, 3월 54.69달러, 4월 57.72달러, 5월 63.02달러로 상승했다. 한국가스공사가 자체적으로 흡수할 수 없는 요인인 원료비 변동분의 일부를 이번에 반영하는 셈이다. 이전의 원료비 하락분은 지난 1월 –5.9%에 이어 3월 –10.1%, 5월 -10.3% 등 올해 들어 세 차례 인하 반영된 바 있다.

이 같은 요금 인상 소식에 온난화, 전기제품 증가, 경기위축 등으로 사상 최악의 판매량 감소세를 기록하며 대책마련에 고심하는 도시가스업계의 걱정은 더욱 커졌다. 원료비 연동이 불가피하다는 것은 인정하지만 가뜩이나 경쟁연료와의 경쟁력 저하로 판매량이 크게 줄고 있는 상황에서 도매요금 인상은 악재로 작용한다는 판단에서다.

특히 대단위 물량인 산업용의 비중이 큰 도시가스사는 여간 곤혹스럽지 않다. 경쟁연료인 B-C유는 물론 LPG에도 가격경쟁력이 크게 떨어지면서 산업체들이 대거 이탈하는 상황에서 도매요금의 대폭 인하만이 가격경쟁력을 제고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기 때문이다.

산업용 부문 유종별 연료비를 지수로 비교해보면 4월에 도시가스를 100으로 봤을 때 LPG 79, B-C유 0.5% 75.9, B-C유 1.0% 69.9 이다. 이후 5월에 한 차례 더 도매요금이 인하되며 LPG 94, B-C유 0.5% 89.5, B-C유 1.0% 82.5로 간극을 조금 좁히는듯하던 상황이 이번에 요금인상이 이뤄지면 이전의 열세로 돌아가는 셈이다.

더욱이 경쟁연료인 LPG는 공급사들이 가격경쟁력 우선의 마케팅 전략을 펴면서 9월에도 동결 내지는 인하할 움직임을 보여 대조된다. B-C유=LPG〉도시가스의 경쟁력 간극이 한층 더 벌어지는 형국이다.

여기에 일선 현장에서 원료비 연동제 배경을 알지 못하는 소비자들로부터 국제유가가 38달러까지 내려갔는데 왜 가스요금은 올리느냐는 비난을 감수해야하는 역할도 속이 쓰리다. 두달 단위로 조정하는 원료비 연동제에 따라 최근처럼 유가변동이 심할 경우 LNG를 도입할 때는 비쌌는데 2개월 뒤 국제유가가 더 떨어지면 착시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최근의 국제유가 하락세는 연말쯤 이뤄지는 요금조정에 반영되게 된다.

도시가스사 한 임원은 “유가 및 환율이 4개월 가량 뒤늦게 반영되는 연동제에 따른 요금 조정이 불가피한 상황인 것을 인정한다”면서도 “수요처, 특히 판매물량 단위가 큰 산업체의 수요이탈을 막기 위해 노심초사하고 있지만 요금 인하 외에는 뾰족한 수가 없어 이번 도매요금 인상이 너무 큰 부담으로 다가 온다”고 말했다.

또 다른 도시가스사 임원은 “3조4000억원에 달하는 미수금을 안고 있는 한국가스공사의 어려움을 모르는 건 아니지만, 소매공급사가 없는 도매공급사가 있을 수 없지 않느냐”며 “서로의 어려운 상황을 감안해 인상폭을 최소화해주길 기대할 뿐”이라고 하소연했다.

채제용 기자 top27@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