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투뉴스] 정부가 가칭 온실가스 감축 및 에너지신산업 특별법 제정을 통해 전기차 보급을 본격화 할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배터리를 한번 충전해 주행할 수 있는 거리가 내연기관 대비 아직 절반 미만에 불과하고 충전소가 부족해 전기차 보급이 더디다는 판단에 따라 일정량 이상의 충전인프라 구축을 의무화하는 내용을 특별법에 담겠다는 계획이다.

아직 초기 논의단계이지만 주차대수가 50대나 100대 이상인 건축물은 반드시 충전기를 갖추도록 하고 기존 장애인차량 전용 주차공간처럼 전기차 전용 주차면을 별도로 만들어 충전과 주차편의를 부여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특별법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지상 도로변 공용 주차장에도 충전기 설치를 의화하고 경우에 따라 연료전지와 연계한 독립 충전시설 허용 및 별도요금제 적용도 고려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전기차는 구매 시 이미 제공되고 있는 보조금과 세제 감면혜택을 비롯해 운행중 충전 편의가 지금보다 크게 개선돼 수요가 눈에 띄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전과 민간이 주도하는 배터리리스 및 충전사업이 활성화 되면 초기 차량구입비 부담이 경감되고 인프라 확충도 속도를 더할 것으로 전망된다.

향후 배터리 기술이 지속 진화해 1회 충전으로 주행가능 거리까지 늘어난다면 전기차는 우리 예상보다 빠르게 기존 내연엔진 시장을 잠식하며 자동차 산업의 판도를 뒤바꿀 수 있다. 물론 보수적 관점에서 예상하는 전기차 시장은 2030년까지 완만한 성장세를 유지하며 내연엔진 시장에 견줘 미미한 비중을 점유할 것이란 그림이며, 이런 전망 역시 충전능력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리튬공기전지 등의 혁신기술 상용화 여부, 미래 유가, 특별법 이후의 전기차 육성·진흥정책에 따라 크게 달라질 것이다.

어찌됐건 이같은 변화는 기존 자동차 산업, 좀 더 나아가서는 정유산업과 LPG 등 기존 수송연료 산업에 중대한 도전을 요구하고 있다. 일례로 전기차는 첨단기술이 집약된 기존 내연엔진과 변속기(미션) 대신 아주 단순한 형태의 전동기(모터)로 그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엔진기술이 없어 자동차 산업 진출을 엄두조차 내지 못했던 전기·전자 업체가 나머지 차체 제작기술만 확보하면 어렵지 않게 이 시장에 새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는 얘기다.

정유사나 LPG업계 등 기존 수송연료 업계 역시 전기차 확대 보급에 따라 직접적인 수익변화를 겪게 될 수 있다. 보급량과 비례해 휘발유·경유·LPG 판매량은 줄게 될 것이고, 이렇게 되면 가뜩이나 저유가로 수익성이 악화된 업계 매출이 좀 더 쪼그라들 수 있다. 또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은 기존 수송연료 유통구조의 변화도 초래해 가정이나 빌딩 등 불특정 다수의 장소가 기존 주유소나 충전소를 대신하게 될 것이다.

이런 큰 변화의 물결 속에 가장 먼저 떠오르는 기업은 단연 현대·기아차다. 현대·기아차는 앞서 과도기 하이브리드카 시장에 진출한 바 있으나 여전히 순수 전기차 시장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고,  이 시장의 미래를 회의적으로 보고 있다. 오히려 현대·기아차는 전기차 이후 수소차 시대를 거론하며 자사가 한발짝 앞서 있음을 어필하고 있다. 전기차 시대는 생각보다 빨리 크게 다가올 듯한데 이 기업의 수세적이고  과거지향적인 대응은 왠지 모르게 불안하다.

이상복 기자 lsb@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