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범 대기택시캡·대기교통 회장

직접 시범운영해보니 LPG택시 대비 경쟁력 없어
택시기사 처우개선이 일자리·수익성 선순환 효과
“디젤자동차 운행은 방독면 쓰고 마라톤 뛰는 꼴”

[이투뉴스] “이젠 연료다변화의 장단점을 놓고 왈가왈부할 의미가 전혀 없습니다. CNG든 디젤이든 연료다변화 논쟁은 종결됐다고 보면 됩니다. 택시회사를 운영하는 사업자 입장에서 볼 때 기존에 사용하던 LPG에서 다른 연료로 바꿀 이유를 찾을 수가 없어요. CNG나 디젤 모두 LPG와 비교해 경제성이 나오질 않습니다”

대구지역에서 주유소, 충전소, 법인택시회사를 함께 운영하고 있는 김상범 대기교통 회장은 디젤이 LPG와 대비해 경쟁력이 전혀 없다고 단언하면서 LPG가격 하향안정세가 지속되고 있는 최근에는 그 차이가 더욱 크다고 잘라 말했다.

김상범 회장을 만난 건 충전소를 사업체로 갖고 있지만 주유소와 택시회사도 함께 운영하는 사업자라는 점에서 어느 한쪽에 쏠리지 않고 형평성에 맞는 평가를 내릴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디젤택시를 도입하겠다는 정책이 제시됐을 때 대구지역에서 택시회사를 운영하는 사업자들과 이런 저런 의견을 나눴습니다. 그런데 사업자 간 견해차이가 있더라고요. 통계에 대한 의구심도 적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이참에 실제로 디젤택시를 직접 한번 운행해보자는 생각을 갖게 됐습니다. 자동차사나 연구소 등에서 제시된 통계수치가 아니라 수익을 좇는 사업자로서 시범운영을 통해 경제성을 직접 확인해보겠다는 의도죠”

시범운영 결과 디젤의 연비가 제시된 수준보다 훨씬 떨어지는데다 정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고가의 DPF(매연저감장치) 등을 고려할 때 당시 LPG가격이 지금보다 비쌌는데도 디젤택시를 운행할 이유가 전혀 없다는 최종 판단을 내렸단다.

디젤은 절대 ‘클린’할 수 없다며 ‘클린디젤’이라는 용어 자체가 잘못됐다는 지적의 목소리가 큰 가운데 최근 폭스바겐 디젤차량의 배출가스 평가 조작사건이 터지면서 디젤차량의 환경성이 도마 위에 올랐다. 택시회사를 운영하는 사업자로서의 견해를 물었다.

“폭스바겐 사태를 계기로 클린디젤의 실체가 낱낱이 밝혀지고 있지 않습니까.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디젤배기가스를 1급 발암물질로 규정하고 그 위험성을 경고한 바 있으며, 유럽을 비롯해 전 세계적으로 디젤차 보급에 제동을 걸기 시작했습니다. 질소산화물 등 유해물질을 줄이면서 디젤차량을 운행한다는 것은 인간이 방독면을 쓰고 마라톤을 하는 것과 같다고 봅니다. 클린디젤도 유해물질의 양이 일부 줄어든 것이지 결코 디젤이 ‘클린’할 수는 없죠.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 교통환경연구소 관계자도 클린디젤은 잘못된 용어이며 디젤은 여전히 ‘더티’한 연료라고 말하지 않았습니까”

서울시에 이어 대구시도 국토부의 디젤택시 배정을 공식 거부했다. 여기에는 대구지역 시민환경단체의 반발이 작용한 것으로 전해진다. 시민환경단체와도 인적 네트워크가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 김 회장이기에 지역 여론이 궁금했다.

“평소 지역 시민환경단체 뿐만 아니라 오피니언 리더 등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과 소통하려 애쓰고 있고, 또 이를 통해서 많은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디젤택시와 관련해서는 대구뿐 아니라 전국 대부분의 시민환경단체가 경유택시 도입을 반대하고 있고, 성명서 발표 등 적극적으로 반대운동을 벌이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대구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디젤택시 도입 반대의사를 명확히 한 대구시의 결단을 높이 평가합니다”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해 기존의 디젤버스를 CNG연료로 교체하는데 엄청난 예산이 들어갔는데, 여기서 다시 시내주행거리가 많은 택시를 1급 발암물질인 디젤을 연료로 운행하게 한다면 시민들의 반발이 더욱 커질 게 당연하다는 그는 일부 지자체에서도 디젤택시 도입에 부정적인 입장이나 중앙정부 눈치를 보느라 명확히 의사표현을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번 대구시의 결정이 또 하나의 계기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한때 대구에서 거세게 불었던 CNG택시 전환의 근황을 묻자 김상범 회장은 CNG택시 개조사업은 완전히 실패한 사업으로 판명 났다고 결론을 내렸다. 대구시가 2012년 예산을 들여 CNG택시 개조사업을 진행했고 당시 대구에만 약 1000대의 CNG택시가 운행됐는데 2015년 9월 현재 휴지차량을 포함해 200여대만이 남아있고 800여대는 LPG택시로 다시 재개조 됐다는 것이다. CNG택시 개조비용이 대당 약 460만원임을 감안하면 개조비용으로만 약 35억원을 날린 셈이다.

이런 상황에서 국토교통부가 2016년에도 또 다시 CNG택시 개조사업을 추진하는 것으로 안다며 수요가 없어 실패한 대구시의 사례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더 이상 혈세가 낭비되지 않는 정책을 펼 것을 촉구했다.

“디젤택시를 정책적으로 도입하는 배경으로 택시회사의 수익성을 들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초점을 빗겨나간 것입니다. 수익성의 팩트는 차량 운행률을 높이는 것과 보험료 절감입니다. 이를 위해서라면 연료 다변화가 아니라 운전기사들의 처우개선에 주력해야 합니다. 처우를 개선하면 좋은 기사들이 많이 지원하겠지요. 양질의 좋은 기사들이 많이 모이면 휴지 차량이 적어져 운행률이 높아지고, 더불어 사고율도 낮아져 보험요율도 낮아지면서 당연히 회사의 수익성은 좋아질 것입니다. 그러면 일자리가 창출되고 기사들의 환경도 좋아지니 이직률도 함께 낮아지면서 가정도 안정되는 사회적 선순환 효과가 나타날 것입니다”

김상범 회장은 실례로 시외버스 회사가 사고율이 낮아지면 보험요율이 낮아지는 효과를 기사들에게 ‘페이백’하겠다고 약속을 하니 사고율이 엄청나게 낮아졌으며, 기사들은 페이백을 받아 좋고 덩달아 이직률도 낮아져 회사는 수익성이 좋아지는 일석삼조, 일석사조의 효과를 거뒀다고 말했다. 다만 현재 택시회사 경영상황에서는 즉각적인 처우개선이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는 점에서 감차 지원 등 정책적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고 덧붙였다.

폭스바겐 후폭풍으로 디젤차량이 가라앉으면서 친환경자동차 개발·보급의 초점이 전기차로 옮겨지는 듯한 상황이다. 이에 대한 견해를 묻자 세계 최고의 인프라와 기술력을 갖춘 것은 물론 경제성, 편의성, 환경성 등 모든 부문에서 이미 검증된 LPG자동차를 왜 외면하는지 이유를 알 수 없다고 반문한다.

“친환경 측면에서 볼 때, 개인적으로 전기차는 완전한 친환경자동차가 아니라고 봅니다. 전기를 원자력으로만 생산해 공급한다면 모르지만 발전용량의 약 70%를 화석연료로 만들지 않습니까. 소비단계에서의 시각으로만 볼 때 전기가 친환경 에너지이지, 발전연료부터 따져본다면 그렇지 않다는 게 저의 판단입니다. 또 전기차에는 LPG차에 부과되는 세수보다도 세금이 더 적을 것이므로 세수 때문에 LPG차량의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는 정부가 스스로 형평성을 벗어난 정책을 펴는 셈입니다. 설득력을 잃는 것이죠. 이미 검증된 LPG차량의 연료제한을 없앤다면 LPG차량이 많아지고, 그에 따라 가격이 더 내려갈 수 있는 상황이 될 것입니다. 모든 부분에서 LPG가 택시연료로서 최적이라고 생각하는 이유입니다”

말이 나온 김에 정책적인 측면에서의 연료 간 형평성과 소비자 선택권 차원에서 LPG차량 사용제한 규제를 폐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갈수록 커지는데 따른 견해가 궁금했다.

“수송용 LPG는 택시, 렌터카, 장애인 등에 한해 제한적으로 허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가운데 택시수요는 전체 수요의 약 40%를 점유하고 있죠. 택시연료 다변화 정책을 추진하면서 LPG는 제한된 사용을 강요하는 것은 분명 잘못된 정책입니다”

김상범 회장은 정부가 1982년 당시 급격한 LPG수요 증가를 막기 위해 택시연료로 제한하고 1990년 장애인들에 대한 혜택 차원에서 LPG사용을 확대했는데 공급이 충분한 지금까지도 여전히 이런 규제가 이어지고 있는 것은 불합리하다면서 선택은 시장에 맡겨야 한다며 LPG연료 사용제한 규제 폐지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채제용 기자 top27@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