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배출감소 대책으로 화력발전소 등의 대량 발생원에서 이산화탄소를 '회수'해 격리하고 '저장'하는 기술(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이 유력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이는 검증되지 않은 것으로 지나친 의존은 금물이라고 <파이낸셜타임스>가 16일 지적했다.

  

CCS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키기 전후에 이산화탄소를 회수, 압착해 지하 저장고에 묻는 기술을 일컫는다.이 기술 가운데 핵심 분야라고 할 수 있는 회수 기술과 관련해 연소 후에 화학 흡수제로 이산화탄소를 흡수 또는 탈착하거나 화석연료를 태워도 이산화탄소가 발생하지 않도록 아예 사전에 연료의 성질을 바꾸는 석탄의 가스화 기술이 실제 일본과 미국 등에서 가동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유럽연합(EU)도 지난주에 CCS 기술을 바탕으로 2020년에 온실가스 배출량을 교토의정서 기준연도인 1990년에 비해 20% 감축한다는 제안을 한 바 있다. 유럽연합의 이런 제안과 같은 맥락에서 세계은행의 경제학자인 니콜라스 스턴경은 15일 영국 왕립예술학회에서 기후변화의 경제학이라는 연설에서 CCS 기술이 앞으로 온실가스를 줄이는 핵심기술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와 관련해 우려를 표시하는 전문가들이 적지 않다. 영국의 전기생산자협회의 데이비드 포터 회장은 "아직 (해당 기술이) 증명되지 않았다"고 경계했으며, 임페리얼 컬리지의 에너지 분야 강사인 존 기빈스는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고 건설에 큰 돈일 들 뿐더러 시급하게 기존 화력 발전소 대신에 CCS 기술이 적용가능한 발전소를 건설해야 할 것이라고 걱정했다.

  

그린피스의 정책관련 선임자문역인 찰리 크로니크는 CCS 기술이 제대로 적용되려면 최소 10년의 기간이 더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그러나 이런 지적에도 불구하고 경제가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과 인도 등이 에너지난 극복 차원에서 화력발전소 건설에 주력하고 있는가 하면 선진국 역시 석유 공급 중단 등의 에너지 안보 상황을 우려해 석탄 의존 비율을 점차 높여가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향후 CCS 기술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중요한 방안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8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