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해운대지구 이어 광주도 수완·상무지구 2곳 허가
연료전지 가동시 나오는 폐열 판매처 확보 등 장점 많아

[이투뉴스] 전국적으로 연료전지발전사업 신규허가 붐이 일고 있는 가운데 이중 상당수가 지역난방과 연계, 열공급을 추진하는 등 ‘집단에너지+연료전지’ 사업모델로 추진되고 있다. 업계는 집단에너지와 연료전지를 연계할 때 최적의 사업구조를 갖출 수 있다며 향후 더욱 확산될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지난 연말 전기위원회는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업인 EIG(대표 안성식)가 제출한 12.76MW 규모의 연료전지 발전사업과 9.9MW의 바이오매스 발전사업을 승인했다. EIG는 연료전지발전소를 올해 12월까지 완공하고, 아직 부지를 확정하지 못한 바이오매스는 2018년 7월까지 준비기간으로 정했다.

EIG는 연료전지 발전시설을 국내 최대 CES(구역전기)사업자였다 순수 집단에너지 사업으로 전환한 수완에너지(광주시 수완지구) 부지 내에 설치, 연료전지 발전과정에서 생산되는 열을 전량 수완 측에 공급할 예정이다.

양사가 전략적 제휴를 통해 EIG는 부지문제 해결을 물론 안정적인 열판매처를 확보했으며, 수완에너지 역시 부지 임대수익을 올리는 한편 연중 고르게 공급되는 저가열원을 확보, 원가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상호 윈윈사업으로 평가된다.

아울러 광주광역시는 지난해 10월 상무지구 환경타운에 연료전지발전사업을 펼치기 위해 설립한 SPC(특수목적법인)인 빛고을연료전지(대표 송용욱)를 통해 연료전지 신규허가를 득했다. 당초 40MW 규모의 연료전지발전소를 추진했으나 서부발전이 빠지면서 12.5MW로 규모를 축소했다. 현재 최대주주는 포스코에너지다.

광주시와 빛고을연료전지는 상무지구 연료전지발전시설을 연내 완공, 환경타운 내 슬러지처리장은 물론 인근에 있는 지역난방사업자인 한국CES에 대한 열공급에 나설 계획이다. 지금까지 열을 공급하던 상무소각장이 폐쇄, RDF(폐기물고형연료) 제조시설로 전환되는 데 따라 이곳에 연료전지발전시설을 지어 열공급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다.

당초 ‘지역난방+연료전지’ 사업모델을 처음 시도한 곳은 더코발트스카이(대표 정형지)였다. 초창기부터 연료전지 발전사업을 벌이던 코발트스카이는 적자에서 헤매던 경기CES를 인수, 이곳에 20MW 규모의 연료전지 발전시설을 지어 전기 및 REC(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판매와 함께 열공급도 해결한다는 복안을 세웠다. 하지만 도시가스요금 상승 및 REC 가격하락에 따라 실행에 옮기지는 못하고 연기했다.

주춤하던 새 사업모델은 부산시가 해운대 소각장 폐쇄에 따른 대체열원 마련을 위해 30.8MW의 연료전지발전시설(부산그린에너지)을 설치하면서 다시 부상했다. CHP(열병합발전)나 HOB(열전용 보일러)가 아닌 연료전지를 집단에너지 열공급을 위한 메인설비로 처음 구축하는 것이다.

이후 연료전지발전만을 위해 세웠던 국내 최대규모(60MW급)의 경기그린에너지도 열판매처 확보를 위해 집단에너지 계열사인 휴세스와 열연계에 나섰고, 이 열은 현재 한국지역난방공사에까지 공급되고 있다. 또 서울시 역시 고덕연료전지(SK E&S, 20MW)와 노을연료전지(한수원, 20MW), 마곡연료전지(30MW) 등을 추진하면서 처음부터 한난이나 SH공사 집단에너지사업단과 열연계를 전제로 사업계획을 수립했다.

최근에는 지역난방을 넘어 연료전지와 산업단지를 묶는 사업도 활발하게 구상되고 있다. 우선 부산시는 국제산업물류도시 내 산업단지에 연료전지 발전시설(35MW)을 지어 산업체에 스팀과 전기를 공급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 110MW라는 최대 규모 연료전지발전소 허가를 따낸 율촌청정에너지 역시 인근 산단에 열 또는 스팀 공급을 계획 중이다.

이처럼 연료전지발전을 집단에너지사업과 연계하는 사례가 확산되는 것은 발전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열을 판매, 연료전지의 열악한 사업성을 보완할 수 있다는 장점에서다. 초기에는 열부문을 무시하고 사업을 추진했으나, 지금은 열공급처를 감안하지 않고 진행되는 연료전지 사업은 거의 없을 정도다.

물론 아직 걸림돌도 적지 않다. 무엇보다 출렁이는 연료비와 REC 가격으로 인해 연료전지발전 사업구조가 안정적이지 않다는 점이 불안요소다. 또 근본적으로 수소가 아닌 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한다는 점에서 진정한 신재생에너지로 볼 수 없다는 의견도 끊이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프로젝트가 지연되거나 좌초되는 경우도 적잖다.

하지만 이러한 불안요인에도 불구 지난해 전기위원회가 내준 연료전지발전시설 신규허가가 450MW를 넘어설 정도로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활황세가 쉽게 꺾이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이 경우 '연료전지+집단에너지' 사업모델 역시 당분간 뜨거운 감자로 부상할 것으로 보고 있다.

김홍권 수완에너지 사장은 “열연계가 쉽지 않은 지방권 집단에너지사업자의 경우 연료전지와의 접목은 저가열원 확보 등 상당한 메리트가 있다”고 장점을 설명했다. 그는 이어 “연료전지는 하루 24시간 연중 가동된다는 점에서 부하가 꾸준한데도 100MW 이하라는 이유로 직공급이 안 되는 문제만 해결된다면 신재생에너지도 늘리고 효율적인 집단에너지사업도 가능해지는 만큼 제도개선이 시급하다”고 분석했다.

채덕종 기자 yesman@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