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NG복합, 급전지시 탈락 및 SMP 하락으로 원가 상승요인 발생
에스파워 10% 수준 인상, 여타 발전소도 상황 비슷해 논의 확산

[이투뉴스] 지역난방용 열공급에 나서고 있는 LNG복합과 열병합발전소들이 전력예비율 증가에 따른 가동률 저하(급전지시 탈락)로 열제약발전 비율이 늘고 있다. 특히 동절기 임에도 SMP(전력시장가격)가 80원대로 떨어지면서 열제약 가동증가는 곧바로 열생산원가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집단에너지업체에 열을 공급하는 일부 LNG복합이 열공급 가격 인상을 단행했으며, 여타 발전사 역시 열요금 조정을 위한 계약변경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전력시장 환경변화로 전기부문 가치가 떨어지면서 열부문으로 비용전가가 현실화되고 있는 만큼 열병합발전의 제대로 된 가치평가가 시급하다는 분석이다.

최근 에스파워는 전력시장 환경변화로 열생산 원가가 상승했다는 이유를 들어 집단에너지사업자에게 주는 수열단가를 10% 가까이 올린 것으로 확인됐다. 에스파워는 안산도시개발에 발전배열을 공급하고, 안산도시개발은 이를 다시 미래엔인천에너지에 공급하고 있다. 

이번 수열단가 인상은 전력예비율 상승으로 당초 예상보다 급전비율은 떨어지는데 반해 열공급을 위한 열제약 가동이 늘면서 원가상승 압박을 받아 온 것이 원인으로 보여진다. 지난해에는 겨우 수지균형을 맞췄지만, 올해 130억∼150억원의 적자가 예상되는 등 수익구조가 점차 악화되는 것도 영향을 미쳤다.

에스파워의 열가격 인상은 안산도시개발과 함께 한국지역난방기술에 ‘열거래 단가 재산정 및 변경 연구용역’을 진행하면서 서작됐다. 이 과정에서 공급자와 수요자 간 일부 이견도 있었으나, 안산도시개발과 미래엔인천이 인상금액의 50%씩 분담하는 형태로 조정이 이뤄졌다. 또 상황이 어려운 만큼 열공급물량을 일부 줄이는 데에도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비단 에스파워 만의 문제가 아니라는데 있다. 현재 한국지역난방공사와 GS파워 등 집단에너지사업자에 열을 공급하는 분당복합(남동발전) 및 일산복합(동서발전)을 비롯해 중부발전의 인천복합과 세종천연가스발전소, 서부발전의 서인천복합 등도 상황이 비슷하기 때문이다. 실제 이들 중 일부는 가격조정을 위한 계약변경 시도에 나섰다는 전언이다.

이들 복합발전소는 올 동절기 급전순위에서 밀리는 경우가 늘면서 가동률이 지난해보다 20∼50% 가량 낮아진 것으로 확인됐다. 결국 열공급을 위한 열제약발전은 증가하는데 반해 SMP까지 추락하고 있어 열공급에 따른 수익을 장담하기 어려운 지경에 처했다며 하소연한다.

특히 당분간 전력예비율은 지속적으로 올라갈 것이 확실시되고 있어 향후 동절기마다 급전지시 탈락과 함께 열제약 운전비중이 더 늘 것이 유력한 상황이다. 결국 전력시장의 환경변화가 전기가치 하락 및 열요금 상승을 불러오고 있다는 지적이다.

여기에 LNG복합발전을 운영하는 발전사가 열거래가격 인상을 추진할 경우 집단에너지사업자 간 마찰의 소지도 다분하다. 이는 통상 열거래에 따른 가격산정 시 연료비 등락은 연동하도록 되어있지만, SMP와 열제약발전 비율 등 세세한 조항에 대해선 별도로 규정하지 않은 곳이 많기 때문이다.

양측의 인식도 약간 다르다. 발전업계는 연료비 인하에 따른 과실을 집단에너지사업자가 가져가는 만큼 가동률 저하에 따른 손실도 열가격에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반면 집단에너지업계는 전기 쪽에서 발생한 손실을 왜 열부문으로 전가시키려고 하느냐며 거부감을 표하고 있다.

따라서 최악의 경우 열공급을 위한 발전기 가동으로 손해가 발생한다며 발전사가 열요금 인상을 요구하더라도 계약위반을 명분으로 집단에너지사업자가 수용하지 않을 경우 열거래 중단 등의 파국으로 이어질 개연성도 있다는 분석이다.

궁극적인 해법에 대해서는 전문가는 물론 업계 모두 의견이 일치한다. 열공급에 나서는 LNG복합 역시 열병합발전과 동일한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니 에너지이용효율 제고와 온실가스 감축에 따른 효과 만큼 세제혜택 및 보상체계를 개선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발전업계 관계자는 이같은 상황에 대해 “발전배열을 활용하면 국가적으로 에너지효율을 높일 수 있는데도 불구 급전지시는 발전효율 만을 기준으로 이뤄지고 있는 것은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또 “열제약발전이 늘어나도 열요금 인상으로 번지지 않으려면 분산전원 성격이 큰 열병합의 전기부문 보상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대안을 제시했다.

채덕종 기자 yesman@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