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투뉴스] 남동발전이 얼마 전 경기도 성남 분당신도시에 있는 발전소 이름을 ‘분당복합화력’에서 ‘분당열병합발전소’로 변경했다. 흔히 분당복합이라 부르던 발전소가 분당열병합이란 새 이름을 갖게 된 것이다. 사업소 이름도 연초 분당화력본부에서 ‘화력’이란 단어를 빼고 본당본부로 개편했다.

이 과정에서 대기환경농도 전광판도 새로 설치해 분당열병합발전소로 명시, 실시간 오염물질 배출현황을 게시하고 있다. 또 정문 출입구에 있는 도로표지판도 경찰과 협의를 거쳐 ‘분당열병합발전소’로 변경하는 등 대외적으로 분당복합을 분당열병합으로 완전 탈바꿈시켰다.

남동발전과 분당본부 측은 지자체는 물론 지역주민들이 복합화력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한다. 심지어 “복합이라는 단어로 인해 쓰레기를 소각해 발전하는 곳 아닌가”라는 의심까지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주민이해를 돕고 발전소 아이덴티티(정체성)를 잘 표현하는 것이 뭘까 고민하다 대외적으로 분당열병합발전을 쓰기로 정했단다.

가장 큰 이유는 주민들의 이해를 도와 그들에게 좀 더 다가가기 위한 것이지만 발전설비 개체를 준비하고 있는 상황에 일부 도움이 될 것이란 판단도 한 몫 했다. 분당복합이 지은 지 25년이 가까워지면서 효율이 떨어지는 등 노후발전소가 돼 설비개체가 시급하기 때문이다. 실제 분당본부 관계자는 “의도적인 것은 아니지만 대체설비를 해야 하는 상황에서 돌파구를 모색하기 위한 뜻도 담겨 있다”고 말했다.

분당복합은 1기 신도시에 설치된 대표적인 열병합발전소다. 수요지 인근에서 열과 전기를 동시에 생산·공급해 에너지이용효율 제고, 오염물질 감소, 분산전원 효과 등 다양한 편익을 제공한다. 하지만 집단에너지와 발전자회사로 나눠지면서 동일한 역할을 하는 발전소가 어디는 ‘열병합’으로 다른 곳은 ‘복합화력’으로 이산가족이 됐다.

여기에 노후발전소를 개체하는데도 차이가 크다. 열병합은 집단에너지 변경허가를 통해 해결하는데 반해 발전사는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돼야만 추진이 가능하다. 특히 주민동의에서 점수를 잃은 분당복합은 6차와 7차에 낸 개체계획이 모두 채택되지 못했다. 발전소 이름까지 바꿀 수밖에 없는 아픔이 묻어난다. 일산복합을 운영하는 동서발전이 작년 운정3지구 집단에너지사업허가를 신청한 것도 사실은 같은 맥락이다.

분당복합과 일산복합은 집단에너지와 전력 간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를 단적으로 보여줌과 동시에 양측의 대립상황을 보여주는 축소판이다. 전력시장 환경변화에 따른 열제약운전 증가를 비롯해 수열단가 문제, 가동률 저하, 수열량 축소논란, 부적절한 전력부문 보상체계까지 쟁점도 다양하다.

여기에 산업부가 열병합발전소 신설 억제 및 용량제한(150MW 예시)을 천명하고 나서 상황이 더 복잡해지는 양상이다. 일부 시민단체들은 이 점을 들어 분당과 일산복합 역시 150MW만 남기고 철수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두 번 다시 갖추기 힘든 인프라를 보유한 분산전원마저 공중에 뜰지 모를 상황이 된 것이다. 탁상공론식 전력·집단에너지 정책의 폐해가 고스란히 드러나는 대목이다.

이유야 어쨌든 발전회사들이 작명소까지 차려야 하는 시대는 하루 빨리 끝내야 한다.

채덕종 기자 yesman@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