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외산버너 사용…국산화 시급

환경부가 수도권을 중심으로 사업장 대기오염물질 총량관리를 시행하고 있는 저녹스(NOx) 보급사업의 버너가 대부분 외국산인 것으로 드러났다.


2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저녹스 버너사업 인증을 받은 버너 및 보일러 전문업체 5개사를 통해 보급한 저녹스 버너의 대다수가 일본 등 외국산인 것으로 나타났다.


저녹스 버너 보급사업은 고가인 질소산화물 방지시설을 갖추기 어려운 중소업체 소형보일러에 대해 질소산화물을 대폭 저감하기 위해 보일러 버너만을 교체, 지원하는 사업이다. 현재 5개사 14개 모델이 저녹스 버너로 인정을 받았다. 사업 첫해인 지난해 수도권 94대ㆍ울산을 비롯한 특별대책지역 48대 등 모두 142대의 노후 보일러버너를 저녹스 버너로 교체했다.


업계에 따르면 모두 54여대를 교체, 설치한 A사는 이탈리아산 50대를 설치했지만 국산버너는 4대에 불과했다. 40여대를 설치한 B사도 국산버너 사용대수는 불과 5대였다. 반면 C사는 20대 전량을 국산버너로 설치했으나 녹스 저감효과가 큰 중유모델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보일러전문업체인 D사와 E사는 일본산 버너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어쩔 도리가 없다고 하소연한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업체 기술수준이 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며 "기술개발을 위한 정부지원이 불가피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국산버너 설치는 더욱 어려워진다"고 말했다. 그는 또 "정부가 저녹스 버너 국산화를 위한 정책을 시행했던 적이 없는 만큼 업계에만 책임을 전가하면 안 된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를 관리, 감독해야할 환경관리공단이나 수도권대기환경청은 한발 물러서 지켜보고만 있을 뿐이다. 특히 저녹스 버너의 국산화율이 미진한 것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교체되는 저녹스 버너의 대부분이 국산이 아닌 외국산이 설치되고 있는 것은 보고를 통해 알고 있다"면서 "그러나 일부업체가 국산화를 진행하고 있는 만큼 조만간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7산업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