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안위, 신고리 5,6호기 건설허가안 의결
2023년 국내 가동원전 29기로 늘어나

▲ 국내 원전건설 현황 (2016년 4월 기준) - 자료제공 한수원

[이투뉴스] 원자력 규제당국이 2021~2022년 완공을 목표로 하는 설비용량 2800MW(1400MW 2기)규모의 대형원전 건설허가를 23일 새로 내줬다.

설계수명만 60년인 원전으로, 이론상으론 2082년까지 가동이 가능하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이날 제57회 회의를 열어 8시간의 찬·반 격론 끝에 '신고리 5,6호기 건설허가안'을 과반수 이상 찬성으로 의결했다. 전체 위원 9명중 2명이 반대의견을 냈다.

당국의 신규 원전허가는 2011년말 신한울 1,2호기 이후 5년 6개월만이다. 앞서 한국수력원자력은 2012년 9월 원안위에 신고리 5,6호기 건설허가 신청을 냈다.   

이로써 오는 2023년말 기준 국내 운영 원전대수는 신고리 3,4호기(~2017), 신한울 1,2호기(2017~2018), 신한울 3,4호기(2022~2023)를 포함해 모두 29기로 늘어날 전망이다. (고리 1호기 폐로 및 나머지 계속운전 전제)

건설확정 원전인 천지 1,2호기(영덕원전)와 2018년 부지를 결정키로 한 추가 2기(천지 3,4호기 또는 삼척 1,2호기)까지 감안하면 전체 신규 원전설비는 12기에 달한다.

이번 건설허가 심의에서 쟁점이 된 사안은 부지 한 곳에 10기 이상의 다수호기(고리 1~4호기 및 신고리 1~6호기)가 건설·가동될 경우 안전성에 문제가 없느냐 여부다.

만약 이 부지에서 지진이나 해일 등의 재해나 특정원전에 사고가 발생할 경우 다른 호기에까지 영향을 끼쳐 피해가 기하급수적으로 확대될 수 있다는 게 환경단체 측의 우려였다.

하지만 원안위는 각 원전이 제각각 안전관련 설비를 가동하고 선정 부지와 인근 지역이 지진·해일 등에서 안전한 지역이라는 판단 아래 건설허가를 승인했다.

아울러 원자로 격납건물의 콘크리트 두께를 1.37m까지 늘려 대형 민간항공기 충돌에도 원전의 건전성이 유지된다고 봤다. 신고리 5,6호기는 선행 건설원전보다 격납건물 두께를 15cm 키운다.

특히 이 원전은 사용후핵연료 1690다발과 2668다발을 각각 저장할 수 있는 발전소내 저장조 2개를 갖춰 가동 후 60년간 발생하는 고준위 방폐물  자체수용도 가능하다는 게 한수원의 설명이다.

정부가 계획하고 있는 고준위 방폐장 건설이 상당기간 지연되더라도 사용후핵연료 포화로 원전가동이 지장이 없도록 하겠다는 포석이다.

기존 신고리 3,4호기는 1690다발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조 1개만 갖춘다.

어찌됐든 규제당국의 이번 신규 원전건설 허가에 따라 신고리 5~6호기는 조만간 착공에 들어가 향후 55개월간 건설공사를 추진하게 됐다.

전체 공사비는 인천공항 건설비(6조2000억원)보다 2조4000억원 가량 많은 8조6200억원 규모다.

공사에 투입되는 연인원은 620만명으로 하루 최대 3000명이 동시에 작업을 수행하고, 레미콘 트럭 10만대(70만㎡) 분량의 콘크리트와 10만톤의 철근, 5000km 길이의 케이블이 동원된다.

이용률 85% 기준 연간 예상 발전량은 국내 전체 발전량의 1.8%에 해당하는 1만424GWh이다.

한수원은 "연간 4578억원의 유연탄 수입 연료비를 절감하고 연간 858만톤의 온실가스를 저감하는 효과가 기대된다"며 "특히 최신 안전기술을 총동원해 최악의 사고에도 안전이 유지되도록  했다"고 강조했다.

이상복 기자 lsb@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