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욱 이투뉴스 발행인

[이투뉴스 사설] 지난달 경주에서 상당한 규모의 지진이 발생하면서 우리나라가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우려가 커지며 LPG(액화석유가스)가 다시 조명받고 있다. 일본은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후쿠시마 원전이 폭발하면서 LPG를 지진 등 자연재해 발생시 바로 쓸수 있는 에너지로 규정해 역할과 위상을 크게 높였다. LPG는 배관에 의해 공급하는 도시가스와는 달리 재해가 발생할 경우 공급차단 가능성이 적고 빠른 복구가 가능한 분산형 에너지이기 때문이다.

일본은 2014년 에너지기본계획을 통해 LPG를 발전용 대체연료로 자리매김하고 안정적 수급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즉 기업뿐만 아니라 정부비축기지도 확대함으로써 150만톤 규모의 정부 저장기지를 5개소 마련했다.

특히 일본의 ‘재해대응형 LPG 공급시스템’은 300~1000kg 용량의 LPG 저장탱크와 계량기, 압력조정기 등 공급설비와 스토브 및 난방기 발전기 등 소비기기를 묶은 것으로 내진성이 강하다. 이 때문에 학교와 복지시설, 마을회관 등에는 재해대응용으로 LPG 탱크가 구비되어 있다.

우리나라도 2011년 정부가 에너지경제연구원에 ‘LNG-LPG 균형발전’이란 연구용역을 통해 분산형 에너지인 LPG가 지진, 자연재해, 전쟁 등 국가 비상사태 발생시 비상연료로 사용이 용이한 점을 감안해 적정 수준의 수요확보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은 이에 따라 에너지안보 차원에서 LPG 비중을 4%로 유지할 것을 권고했다.

그러나 원가보다 저렴하게 공급되는 전력이 다른 수요를 잠식하면서 LPG 수요는 매년 감소추세를 보여 2010년 4.1%에서 2014년 3.3%로 오히려 0.8% 포인트 줄었다. LPG 업계는 수송용 연료로서 수요를 늘리기 위해 사용제한을 해제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으나 산업통상자원부는 요지부동이다.

재해대응 뿐 아니라 에너지의 95%를 수입하고 있는 우리나라로서는 안정적인 에너지 확보를 위해 에너지믹스를 적정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미국이 셰일가스 개발로 LPG 값이 크게 떨어진 점을 고려하면 중동 의존도가 극심한 우리로서는 수입선 다변화라는 효과를 노릴 수도 있다.

산업부도 나름대로 LPG차 사용제한 규제 폐지에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이유가 있겠으나 경주 지진으로 우리도 재해대응을 위한 에너지 안전 확보에 눈감을 수 없는 사정을 십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지구온난화 등으로 자연재해가 과거와는 달리 급격하고 과격한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이처럼 상황은 급변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정책당국자들은 과거의 패러다임에 갇혀 탁상행정을 펼칠 때는 아니다.

경주 지진으로 인해 생긴 국민의 불안과 공포를 해결하는 방안을 여러 측면에서 찾아야겠지만 에너지의 경우는 LPG가 새로운 대안이 될수 있다는 점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