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난, 현재 시장상황에선 불가능…산업부 및 업계에 유보 통보
발전배열 6만원/Gcal 요구로 사업성 미달, 광역망기획단 해체

[이투뉴스] 그린히트 프로젝트(수도권 열배관망 구축사업)가 시작한 지 4년 만에 사실상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도시가스업계의 강한 반발과 함께 LNG복합발전의 가동률 저하에 따른 발전배열 가격상승을 극복하지 못한 것이 가장 컸다. 하지만 완전 중단이 아닌 사업여건 개선 시까지 유보하는 형태로 매듭지어 여지를 남겨뒀다.

한국지역난방공사(사장 김경원)는 최근 관련 전문가회의를 열어 그린히트 프로젝트 추진이 현재 여건으로는 어렵다고 최종 결론내고, 사업여건이 개선될 때까지 유보하겠다는 방침을 산업통상자원부에 보고했다. 아울러 그린히트를 함께 논의해온 발전사 및 집단에너지업체에도 공식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사내조직인 광역망기획단도 1월까지만 유지하고 폐지한다. 산업부와는 이미 교감을 거쳤다는 점에서 정부차원에서 별도의 조치는 없을 전망이다.

그린히트 프로젝트는 인천 발전단지 및 수도권매립지에서 나오는 열을 배관망을 통해 서울 강남까지 끌어오는 사업으로, 2013년 한난이 사업구상을 밝히면서 스타트를 끊었다. 이후 한난의 자체 연구용역과 함께 KDI(한국개발연구원)의 예비타당성조사까지 통과하면서 추진이 구체화됐다.

하지만 도시가스사업자들의 강한 반발과 함께 전력시장 환경변화까지 겹치면서 경제성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결국 한난은 그린히트 추진여부를 최종 결정하기 위해 에너지경제연구원에 열거래 단가 산정 연구용역을 맡겨 검토하기에 이르렀고, 11월말 그 결과가 나왔다.

연구용역 과정에서 발전사들은 전력예비율 상승 등 전력시장 급변에 따라 열생산에 따른 리스크를 광역망사업자(한난)가 모두 부담해야만 사업에 참여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열생산을 위한 모든 발전비용에서 전력시장 수입을 제외한 비용’을 수열단가로 산정, Gcal당 6만원 수준을 요구했다.

반면 한진중공업, 서울에너지공사, 짐코, 대성산업 등 열수요자들은 지역난방 소매요금을 고려할 때 도매 열요금이 Gcal당 5만원 이하로 책정돼야만 그린히트에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내비쳤다. 현재 시장의 열거래 단가 및 경영개선 효과 등을 감안할 경우 5만원이 수열가격의 마지노선이라는 얘기다.

▲ 열거래 단가 산정 연구용역 및 협상 결과 2만5000원에 달하는 수열단가 격차가 발생했다. 

발전사 요구를 반영한 도매 열거래 단가와 집단에너지사업자가 기대하는 요금수준과의 큰 가격차이로 수열협상이 결렬되면서 그린히트는 꼬이기 시작했다. 전력시장 변화로 인한 발전배열 단가가 오르면서 기존 열거래에도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린히트 역시 피할 수 없는 복병을 만난 셈이다.

결국 지역난방공사는 연구용역 결과와 함께 관련 전문가 회의를 열어 전력시장 급변 및 수열단가 차이 등 현재 사업여건으로는 그린히트 추진이 어렵다고 판단, ‘GHP 사업추진 유보’를 최종 결정했다. 다만 집단에너지시설의 노후화 및 개체 어려움은 물론 사업자간 열원가 격차 등을 고려할 때 광역 열배관망 구축 필요성은 상존하고 있다는 의견을 반영해 사업여건 개선 시까지 유보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그린히트 전문가 회의에 참석한 학계 관계자는 이와 관련 “미활용열 이용은 물론 집단에너지 사업구조 개편 등 모든 측면에서 광역망이 필요하다는 것은 모두 인정하는 사안”이라면서 “전력시장 환경변화와 함께 도시가스사 반대라는 이해관계 조정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 정책적 배려가 이뤄지지 못한 것이 가장 큰 패인”이라고 분석했다.

채덕종 기자 yesman@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