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A연례 보고서…2020년 LNG수출이 PNG수출 상회

[이투뉴스] 지난해 천연가스 순수입량이 0.94Tcf로 순수입국이었던 미국이 올해부터 LNG 수출이 급증하기 시작해 2018년부터는 천연가스 순수출국이 된다.

최근 발행된 EIA(에너지정보청)의 2017 연례 에너지전망(Annual Energy Outlook 2017, AEO2017)에 의하면 캐나다로부터의 PNG 수입은 감소하는 반면 캐나다 및 멕시코로의 PNG 수출과 LNG 수출은 증가, 2018년에는 미국이 천연가스 순수출국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미국 본토 48개 주 내 첫 번째 LNG 터미널인 사빈패스 LNG 터미널 트레인 1, 2가 2016년 가동을 시작했으며, 그 밖에 현재 건설 중인 LNG 터미널이 모두 완공되면 LNG 터미널의 전체 용량은 하루 9.2Bcf에 달할 전망이다.

셰니에르社는 2017~2019년 완공 예정으로 사빈패스에 트레인을 추가 건설 중이며, 카메론 LNG社의 16.2Bcm 규모 LNG 수출 터미널은 2018년 완공 예정이다. 프리포트 LNG디벨로프먼트社의 18Bcm 규모 LNG 터미널은 2019년 완공 예정으로, 현재 2021년 완공을 목표로 4기의 트레인 추가건설이 검토되고 있다. 또 셰니에르社의 코퍼스 크리스티 LNG 터미널 규모는 18Bcm으로 2019년 완공 예정이며, 2021년 완공 예정으로 12Bcm 규모의 트레인 4기 추가건설을 허가받았다.

미국이 캐나다 서부에서 수입하는 PNG 물량은 계속해서 감소하는 반면, 미국 마르셀러스와 유티카 바신에서 캐나다 동부지역으로 수출하는 PNG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현재 건설 중인 미국과 멕시코를 잇는 가스관이 완공되면, 미국의 對멕시코 PNG 수출은 적어

도 2020년까지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건설 중인 LNG 수출 터미널이 완공되면 LNG 수출 확대로 천연가스 생산은 계속해서 증가할 것이며, 2020년에는 LNG 수출량이 PNG 수출량을 웃돌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와 함께 미국은 EIA의 AEO2017 기준 시나리오 대부분에서 2020년대에 에너지 순수출국이 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로 천연가스 수출 증가로 인한 것이다.

AEO2017 기준 시나리오에서 천연가스 생산은 2020년까지 연평균 3.6% 수준으로 계속 증가한다. 그러나 수출 증가세 둔화, 에너지 효율 향상, 천연가스 가격의 점진적 상승 등으로 기준 시나리오에서 2020년 이후 천연가스 생산 증가율은 연평균 1.0%로 둔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석유・가스 생산 규제철폐 위한 행정명령 발효

이와 관련해 미국 내 화석연료 생산을 증가시키고 에너지 부문에 장애가 되는 규제철폐를 위한 절차의 하나로 지난 2월 24일 새로운 행정명령이 발효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지난 1월 30일 ‘규제축소 및 규제비용 통제’와 ‘규제 계획 및 점검’에 대한 행정명령을 통해 규제개혁 이니셔티브를 발표하고, 신규규제 1개를 부과하면 기존 규제 2개를 철폐하도록 하는 원칙을 제정했다.

이 같은 규제개혁 이니셔티브를 실행하기 위한 신규 행정명령을 통해 각 연방 기구의 수장이 규제개혁담당관(RRO)을 임명하고, 각 기구의 RRO가 기존 규제를 평가해 철폐되거나 수정되어야 할 규제를 파악하도록 했다. 관련 법규를 준수하면서 규제 개혁을 효과적으로 이행할 수 있도록 각 기구의 RRO는 규제개혁 이니셔티브 및 정책을 감독하고, 각 기구의 수장과 지도부에 정기적으로 보고해야 한다. 또한 각 기구는 RRO와 규제정책담당관(RPO), 중앙 정책사무소나 이에 준하는 중앙 사무소의 대표 등으로 구성된 규제개혁 태스크포스를 구성해야 한다.

이번 행정명령 발효에 대해 에너지업계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반대의 목소리도 높다. 잭 제랄드 미국석유협회(API) 회장은 이 같은 결정을 환영하고, 지난 몇 년 동안 미국 에너지 산업은 에너지 자원 개발을 저해하는 145개의 신규규칙과 규제로 어려움을 겪어왔다고 밝혔다. 네일 브래들리 미국 상공회의소 수석부사장도 미국 내수시장의 성장을 위해서는 규제완화와 개혁이 필요하다며, 불필요한 규제는 불확실성을 가중시키고 투자와 혁신을 저해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이번에 발효된 행정명령에 반대하는 측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규제완화를 위해 직접 선임한 인사들이 중대한 공공 보호정책들을 파괴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채제용 기자 top27@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