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제재 일부만 해제…외국기업 투자 및 복귀 지연

[이투뉴스] 이란의 LNG수출 프로젝트가 여전히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규모 LNG 수출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것이 비교적 더 현실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이 중동경제전문지 <MEES>를 인용해 보고한 바에 따르면 경제제재 강화로 중단됐던 이란의 주요 LNG 수출 프로젝트 중 재개된 것은 없다. 토탈과 말레이시아 국영기업 페트로나스가 추진하던 연간 처리용량 1000만톤 규모의 파르스 LNG프로젝트는 경제제재로 인해 2008년 초 중단됐다. 당초 파르스 LNG 프로젝트는 사우스 파르스 가스전 11 광구에서 생산한 하루 2Bcf 규모의 가스를 처리할 예정이었다.

쉘과 스페인 렙솔이 함께 참여한 연간 처리용량 1600만톤 규모의 페르시안 LNG 프로젝트도

경제제재로 인해 2008년 중단됐다. 이란의 NIGEC(National Iranian Gas Exporting Company)와 NIOC 스태프 페르시안 펀드가 각각 49%와 51%의 지분을 갖고 있는 연간 처리용량 1050만톤 규모의 이란 LNG 프로젝트도 경제제재가 강화되면서 2012년 중단됐다.

하지만 이란 정부는 현재 LNG 수출 프로젝트를 우선순위에 두고 있지 않으며, 상기 LNG 수출 프로젝트들은 외국 기업의 참여 없이는 실현이 어려운 상황이다. 5억 달러 이하의 투자비가 소요되는 FLNG 사업과 같이 소규모 LNG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기술・비용적인 측면에서 더 현실적인 것이라는 평가다.

이란의 가스 생산량은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 가스수요 증가, 외국기업의 이란 사업에 대한 투자 결정 및 복귀 지연 등으로 이란의 LNG 수출 프로젝트는 답보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란은 가스 생산량을 계속 늘려가고 있으며 총 가스 생산량은 현재 하루 약 28Bcf 규모인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사우스 파르스 가스전의 생산량은 2016년 1월 하루 약 14.8Bcf에서 올해 3월 하루 18.4Bcf 규모로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이란의 가스 생산량 통계에는 원유 회수율 증진을 위해 재주입된 가스도 포함돼 이란이 제시한 수치는 다소 과장된 것이라는 지적이다.

이란은 사우스 파르스 가스전의 20광구와 21광구에서 증산을 계획하고 있어 이란의 가스 생산량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나, 국내 가스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에서 증산이 수출확대로 이어질지 장담하기 어렵다.

이란 자국의 가스 수요는 2015년 약 190Bcm에서 지난해 200Bcm으로 늘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추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전망이다. 이란이 계획하고 있는 석유화학 설비가 건설될 경우 하루 2.96Bcf(연간 31Bcm) 규모의 가스가 더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란은 경제제재 해제에 따라 국제 석유시장 점유율을 회복하기 위해 생산량을 늘리고 있으며, 이에 따라 회수율 증진을 위해 유전에 주입하는 가스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란이 필요로 하는 유전 재주입용 가스는 93Bcm 수준으로 예상되지만 이란은 경제제재를 받고 있던 2014년에는 32Bcm 규모만을 유전 재주입용으로 사용했다.

외국 기업의 투자 및 복귀 지연도 걸림돌이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對이란 정책과 이란 대선으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며, 일부 남아있는 미국의 對이란 경제제재로 이란이 국제 금융시스템에 복귀하지 못하고 있어 외국기업들의 이란 사업 참여가 활발하게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핵협상 타결에 따른 미국의 對이란 경제제재 일부 해제조치는 금년 여름에 만료될 예정이며,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당선 이전부터 핵협상 결과를 부정적으로 평가해온 바 있어 경제제재

해제조치 연장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으로 남아있던 미국의 對이란 경제제재 조치가 해제될 가능성은 낮아졌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이후 지난 2월 추가적인 경제제재 조치를 발표하면서 외국기업들은 이란 사업에의 참여 결정에 더욱 신중한 태도를 견지하고 있다.

일부 남아있는 경제제재로 이란은 대금 지급을 못하고 있어, 독일 린데社 등과 계약을 체결했음에도 불구하고 필수적인 가스액화기술과 가스 동결에 필요한 기자재 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채제용 기자 top27@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