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자원 인력양성 늦출 때 아니다"

전력분야 2만6600명ㆍ원자력분야 3100명ㆍ신재생에너지분야 2400명ㆍ에너지효율향상분야 7200명ㆍ온실가스저감분야 2400명ㆍ자원개발분야 3500명 등 올해부터 2015년까지 에너지ㆍ자원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신규전문인력은 모두 4만5200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재의 인력양성 환경에서는 오는 2015년까지 대학(원) 중심의 전문인력은 전력분야 1만5449명ㆍ원자력분야 495명ㆍ신재생에너지분야 1370명ㆍ에너지효율향상분야 6818명ㆍ온실가스저감분야 720명ㆍ자원개발분야 3010명 등 모두 2만7462명을 양성할 수 있어 최대 1만7700여명의 전문인력 수급차가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온실가스저감분야의 경우 라티오(Ratio. 수급차를 수요로 나눈 후 100을 곱한 값)가 -67%로 인력수급차의 폭이 가장 큰 분야로 나타났으며 원자력(-67%)ㆍ자원개발(-54%)ㆍ에너지효율향상(-36%)ㆍ신재생에너지(-13%)ㆍ전력(-2%)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산업체 인력을 포함한 에너지ㆍ자원분야 범용인력은 2015년까지 7만5000여명의 인력수요가 예상되나 인력공급은 12만2000여명이 될 것으로 보여 62% 초과공급될 전망이다.


이는 그동안 개별 에너지차원의 인력수급조사나 인력양성프로그램을 산발적으로 추진돼 왔으나 종합적인 인력양성 전략수립은 사실상 전문했기 때문이라는 것. 국가에너지기본계획이나 국가에너지기술개발계획 등과 연계해 체계적인 에너지인력양성을 위한 마스터플랜을 수립, 추진할 시점에 와 있다는 것이 학계나 산업계 모두의 공통된 의견이다.


이에 따라 에너지경제연구원은 6일 산업자원부의 용역사업으로 진행된 ‘에너지ㆍ자원 인력양성 마스터플랜 수립’에 대한 공청회를 갖고 신고유가시대의 도래와 기후변화협약에 대응, 에너지ㆍ자원사업의 혁신적ㆍ지속적 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인적자원의 효율적인 양성 대책 마련에 나섰다.


이날 공개된 ‘에너지ㆍ자원 인력양성 마스터플랜’에 따르면 에너지자원분야 인력양성의 해결책으로 향후 전문인력에 대한 초과 수요 발생가능성이 큰 만큼 전문인력양성에 초점을 두고 전문인력의 수급격차를 줄일 수 있는 공급확대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또 현 대학교육체계의 산업현장수요 변화에 대한 대응력이 아주 미약하기 때문에 환경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교육체계로의 전환을 요청했다. 무역과 환경부문의 국제적 압력이 가중되고 있으므로 국제적 전문역량을 갖춘 소수정예 인력양성프로그램의 운영과 에너지ㆍ자원분야에 대한 국제연수 및 협력사업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에너지ㆍ자원분야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저하되고 있다는 문제 의식 하에 에너지ㆍ자원 개발의 필요성 및 중요성에 대한 홍보강화를 제시했다.


김진오 에경연 명예연구위원은 “국내 이용 가능한 기존 교육훈련 조직으로 정부출연연구기관을 전문인력양성센터로 활용하거나 대학교의 우수 전공분야별 특성화대학(원)을 지정ㆍ운영하는 방안이 있다”면서 “이외에도 기초전력연구원과 자원개발아카데미 운영방식과 같이 대학교 연합공동연구소를 설치한다면 특별히 추가 정책적 조치 없이 인력양성프로그램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그는 또 “국제적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과학기술대학원(UST)이나 한국개발연구원의 국제정책대학원과 같이 에너지기술대학원대학이나 에너지경제연구원 산하에 에너지정책대학원과 같은 대학원대학의 별도설치 등도 검토대상에 포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종합1_0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