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협약특성화대학원을 통한 전문인력 양성

정부는 지난해 12월 대통령이 주관하는 제1차 국가에너지위원회에서 에너지자원분야의 2030년 장기목표로 ▲석유가스 자주개발율 35% ▲신재생에너지보급율 9% ▲세계 최고기술수준의 90% 접근 등을 제시한 바 있다. 그리고 중단기 목표로 2013년까지 ▲석유가스 자주개발율 18% ▲2011년 신재생에너지보급율 5%을 설정한 바 있다.

6일 공개된 ‘에너지ㆍ자원 인력양성 마스터플랜’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 방향으로 ▲에너지ㆍ자원 인력의 질적 능력 강화 ▲공기업의 역할 강화 ▲전문 인력의 국제화시도 ▲에너지ㆍ자원분야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 ▲유가인상 등 에너지환경변화에 따른 인력수급 변동 모니터링 및 인력정보지원기반 구축 등을 제안했다.

 

◆온실가스저감분야 인력양성계획
온실가스저감분야의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중장기 인력양성 로드맵이 제시됐다.

전의찬 세종대학교 교수는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중장기적으로 온실가스 감축기술에 대한 기술전망에 입각한 인력양성 전망과 수급계획을 세우는 일이 시급하다”면서 “온실가스 감축대응을 위한 중장기 정부 인력양성과 공기업 및 연구기관의 인력양성 예산을 통합적으로 고려해 인력양성 마스터플랜을 수립해야 한다”고 밝혔다.

6일 ‘에너지ㆍ자원 인력양성 마스터 플랜 의견 수렴을 위한 공청회’에서 발표된 온실가스저감분야의 전문인력 양성 로드맵에 따르면 ▲온실가스 저감분야 기반 구축(2006~2009년) ▲온실가스 저감분야 기반 확장(2010~2015년) ▲온실가스 저감분야 선도체제 구축(2016~2020년)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학부생 위주의 ‘기초인력 양성’ 과정 ▲석ㆍ박사 학위과정을 통한 ‘전문인력 양성’ 과정 ▲산업체 및 지자체 기후변화 실무자 대상의 ‘현장 재교육’ ▲수요맞춤형 교육과 기후변화협약 전문가 능력개발을 통한 ‘인력 양성센터’ 과정 운영 ▲지구환경과학ㆍ에너지학과 등 유관학과의 학ㆍ석사 연계과정 운영 ▲관련 연구기관 및 공기업의 인턴십 제도 운영을 통해 기초인력 양성 등이다.

이를 바탕으로 전문인력을 오는 2015년까지 매년 30명씩을 양성하고 이후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연간 44명을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기초인력도 2009년까지 연간 40명ㆍ2010년부터 2015년까지 연간 60명ㆍ2016년부터 2020년까지 연간 80명을 양성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현장 재교육과 인력양성센터를 통해 온실가스저감분야의 인력을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지금까지 공무원 및 행정분야에서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커리큘럼’이나 ‘연수과정’은 거의 전문한 실정이었으며 에너지경제연구원과 에너지기술연구원 등 전문기관의 경우 온실가스감축 및 기술개발 분야에 특화된 연구인력 양성은 미흡한 현실이었다.

종합4_0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