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운동연합 "송전선로 부족이 아니라 수도권 편중이 문제"
[동해권 345kV 중단사태] '예견된 전력망 고장, 분산 정책이 답이다' 논평
[이투뉴스] 환경운동연합은 본지 9일자 보도로 확인된 울진원전~신영주 345kV 송전선로 고장과 동해권 석탄화력 정지사건과 관련, "송전설비 고장이나 전력망 문제는 송전선로 총량이 부족이 아닌 워낙 많은 전력이 수도권에 집중되는 문제 때문"이라며 "송전망을 단순히 추가 건설하는 방식으로는 한계점을 해소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환경운동연합은 10일 낸 '예견된 전력망 고장, 에너지 분산 정책이 답이다'라는 제목의 논평에서 "수도권에 집중돼 있는 전력수요를 분산할 수 있는 다양한 에너지 분산정책이 우선되지 않으면 송전망 문제는 영원히 해결책을 찾을 수 없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전력계통 부족 문제가 거론될 때마다 언론이나 전력당국이 해법을 전력망특별법 제정이나 송전선로 증설 일변도로 제시하는 것을 비판한 논평으로 풀이된다.
이 단체는 "이번 고장은 수도권에 집중된 소비와 해안가 대형발전원을 대규모 장거리 송전으로 의존하는 시스템의 한계로 이미 예견된 것이었다"면서 "여기에 윤석열정부의 노후핵발전소 수명연장과 신규 건설로 원전이 기존 송전선로를 독점하면서 송전망 불안이 더욱 커지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심화되는 기후재난속에서 전력망 고장은 더 빈번해 질 것이다. 전력수급안정화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당장 에너지 분산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장기적으로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와 전기화로 추가 송전선로 건설이 불가피하다면 구체적 로드맵을 시민사회와 투명하게 논의해야 한다. 기존 석탄·원전이 아닌 재생에너지 중심의 전력망 체계를 위한 로드맵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상복 기자 lsb@e2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