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이 答이다] “민간 주도 수소 전주기 밸류체인 구축”

박환진 원더모빌리티 상무 전세버스 총량제 개선 주문 "수요처와의 충전소접근성 개선 및 수소버스 증차 필요"

2025-04-04     최인영 기자
박환진 원더모빌리티 상무.

[이투뉴스] “전세버스는 차고지 개념부터 노선버스와 다릅니다. 기존 수소충전소와 합을 맞추기 어려운 구조죠. 수소생산, 저장·운송, 활용에 이르는 전 밸류체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이달 2일 개최된 전세 수소버스 충전인프라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식에서 만난 박환진 원더모빌리티 상무<사진>는 이번 협약의 의미와 전세버스 사업자로서 겪는 애로사항을 소신있게 밝혔다.

2023년 4월 수소 고상버스가 출시되면서 정부도 수소버스 보급에 팔을 걷어붙였지만,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산적해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대중교통인 시내·시외·광역버스는 특정노선을 운행하는 반면 전세버스는 수요처 요구에 따라 이동합니다. 민간사업자가 정부보조금 없이 수소버스를 도입하고 충전인프라까지 보급하는 일이 쉽지만은 않습니다. 하지만 하루 2시간 이상, 평균 150~200km에 이르는 거리를 왕복하는 기사들의 노고를 보면서 하루 속히 여건을 개선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최근 기업 ESG경영의 일환으로 수소버스를 찾는 수요도 꾸준히 늘고 있다. 통근용 이외에 통학 및 관광용 버스로 운행 중이지만 충전문제는 늘 골칫거리다. 특히 기존 경유버스는 30분안에 어디서든 값싸게 주유할 수 있어 운전기사들이 체감하는 불편은 더 클 수밖에 없다.

“전세버스사업자로서 가장 먼저 고민할 전략은 수요처와의 접근성입니다. 저렴한 수소를 안정적으로 공급받으면서 넓은부지까지 확보한다면 금상첨화죠. 고객과의 약속을 지키려면 아무리 멀고 값이 비싸도 수소충전소를 찾아 반드시 가야만 하는 현실입니다.”

박 상무는 오죽하면 승용차 운전자들 사이에서도 ‘넥쏘 밥 먹이러 여정 떠난다’는 말이 나오겠냐고 하소연했다. 차량에 남은 수소연료를 최대한 아끼기 위해 때로는 ‘어부바(견인)’를 고민하기도 한다고 전했다. 하물며 약속된 시간과 장소에 맞춰 운행하는 전세버스 사업자는 얼마나 속이 탈까.

“차고지 개념과 수소충전소 이용계획을 면밀히 검토한 뒤 한국자동차환경협회의 공모사업에 주목했습니다. 보조금 등 행정지원과 함께 수소 생산·공급사업자와 협업이 무엇보다 중요했기 때문이죠. 전세버스사업자 최초로 수소 전주기 관점에서 협업모델을 구축한 점에 자부심도 느낍니다.”

그는 각 수요처와의 거리를 계산해 최적위치를 선정하고, 맞춤형 사양설계 및 공급·유통업체와 협상을 거쳐 전세 수소버스 전용 충전모델을 확립했다고 설명했다. 자체 수소충전소를 운영해야만 버스도입도 탄력을 받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수소 생산기업, 충전소운영사업자, 차량제작사 등 모두가 공생공존할 수 있는 전략이라고 봅니다. 전세버스라는 고정물량을 확보함으로써 수소 공급단가와 kg당 충전가격도 낮출 수 있습니다. 시내버스와 승용차 등 기존 차량 충전불편 해소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업무협약을 지원하기 위해 현대차 마북연구소 앞에 정차 중인 원더모빌리티의 셔틀용 수소버스.

앞서 지난달 1일 정부는 수소버스 연료보조금을 1400원 인상해 kg당 5000을 지급하기로 했다. 사업자의 연료비부담이 22%가량 낮아져 전기버스와 경쟁여건이 형성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전세버스는 환경부가 보조금을 주는데도 지자체 지급대상에서 빠져 차량구매 단계부터 부담이 될 뿐 아니라 여타 조건까지 합산하면 되레 마이너스 요인이 된다는 게 박 상무의 견해다.

“연료보조금이 인상됐지만 실제 충전단가도 올랐습니다. 또 이동거리, 통행료, 대기시간, 충전율 등을 연료비로 산정하면 오히려 적자인 경우도 발생하죠. 특히 전세버스는 지자체 노선버스와 달리 보조금 대상에 빠져있어 차량구입부터 부담이 되기도 합니다. 사실 최저가입찰을 하는 기업 통근버스 입찰에서는 경유버스가 더 현실적입니다. 수소버스라는 이유로 추가 인센티브가 주어지지 않기 때문이죠.”

지난해 12월 6차 수소경제위원회 당시 정부는 수소버스 등 상용차 중심 수소차 보급확대를 선언했다. 지자체와 협력해 시내버스, 단거리 시외버스, 광역버스의 수소버스 전환을 지원하고, 2030년까지 2만1200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전세 경유버스의 수소차량 전환을 더욱 확대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공급과잉을 이유로 도입한 전세버스 총량제가 개선돼야 합니다. 정부는 6차 수소경제위원회에서 수소버스의 증차허가를 검토하겠다고 밝혔으며, 최근 제주특별자치도가 운행 중인 42대의 수소버스에 신규 번호판 증차를 허가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수소버스 증차 허가가 전국으로 확대되길 바랍니다.”

최인영 기자 dodam@e2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