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히트펌프 쏠림에 설 자리 잃는 연료전지
[이투뉴스] 환경부가 내년 예산안에 공기열 히트펌프 보조금 지급을 신설해 연료전지업계에 파장이 일고 있다. 제로에너지건축물(ZEB) 인증의무가 강화되면서 건물용 연료전지 시장도 활기를 되찾을 거란 기대와 달리 히트펌프에 자리를 내어주는 꼴 아니냐는 우려마저 제기되는 상황이다.
공기열 히트펌프는 겨울철 외부 열을 흡수해 실내로 이동시키고, 여름철에는 실내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식으로 가동된다. 내부는 압축기, 증발기, 응축기, 팽창밸브 등으로 구성돼 있다. 대기 중 열에너지를 끌어와 냉·난방을 하기 때문에 최근 공기열도 재생에너지원에 포함시켜 달라는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
히트펌프업계는 유럽, 미국, 일본 등 해외에서는 이미 공기열을 재생에너지로 지정해 보조금, 세액공제, 금용혜택 등 지원정책을 확대하고 있는 점을 근거로 제시한다.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시대의 흐름과 부합하는 제도개선이라고 목소리를 높인다.
반면 연료전지업계의 시선은 달갑지 않다. 이들은 상업용과 주거용 건물을 구분해 자신들의 주장에 힘을 싣고 있다. 주거용 건물은 바닥난방을 선호하는 한국인의 정서에 맞지 않다는 주장이다. 공기만 따뜻하고 바닥이 찬 경우 불편감을 호소하기 때문이다. 도시가스 미공급 지역의 등유보일러를 히트펌프로 교체한다는 일부의 움직임에도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한다.
상업용 건물 역시 재생에너지 활성화를 목표한 정부 계획과 배치된다고 목소리를 내고 있다. 상업용 건물에는 이미 가스히트펌프(GHP) 또는 전기히트펌프(EHP)가 설치돼 있다는 이유에서다. 즉 재생에너지 설치의무비율 가운데 일부를 히트펌프가 대신한다는 주장으로, 태양광 및 연료전지 설치비중 감소를 우려한다.
또 전국 10가구 중 8가구 이상에 도시가스 보급이 이뤄진 국내 주거여건에는 히트펌프 설치가 도리어 비용부담만 가중시킨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히트펌프 보급에 적극적인 유럽의 경우 도시가스망이 연결되지 않은 지역이 많기 때문에 LPG, 연탄, 등유 보일러보다 히트펌프가 더 경제적이라는 분석은 우리 실정과 맞지 않다고 주장한다.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 연구결과에 따르면 콘덴싱 가스보일러 교체 시 75만원 가량이 드는 반면 히트펌프는 13배 높은 1000만원 이상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여전히 공기열 히트펌프를 재생에너지로 인정하는데 다소 부정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다. 유럽, 미국, 일본 등과 여건이 다르다는 이유에서다.
그럼에도 정부는 공기열 히트펌프 보급에 갈수록 무게를 더하는 모양새다. 환경부 또한 내년부터 저녹스보일러 지원사업 대신 공기열 히트펌프 보급사업을 새롭게 시행한다고 밝힌 바 있다. 공기열 히트펌프에 대한 보조금 지급이 탄소중립 실현이라는 국가 에너지전환 목표에 걸맞은 정책인지 재점검해봐야 한다.
최인영 기자 dodam@e2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