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무영 교수 (서울대학교 지속가능 물관리연구센터 / 건설환경공학부)

한무영 교수
서울대학교
지속가능 물관리연구센터
/ 건설환경공학부

[이투뉴스 칼럼 / 한무영] 미세먼지 오염이 심한 날, 인천공항에서 서해안을 거쳐 남쪽으로 가는 비행기를 타보았다. 뿌연 미세먼지가 서해바다 위 높은 곳까지 있는 것을 보면 미세먼지가 중국에서 발생하였으며, 우리나라 도시에서의 여러 노력이 효과가 없을 것이라는 것을 금방 알 수 있다. 중국발 미세먼지는 중국에서 줄여야만 해결된다. 물론 국내의 여러 사업장, 도로에서도 미세먼지를 최대한 줄여야 한다. 일단 미세먼지가 발생하면 넓은 공간으로 확산된다. 미세먼지를 포집하고, 씻어내고, 다시 떠오르지 않도록 하는 것도 발생원 차단 못지 않게 중요하다.

미세먼지는 현재만의 문제가 아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국민의 건강과 생활에 위협요소가 될 것이다. 미세먼지 대책을 잘 세워야만 국민의 건강을 지킬 수 있다. 일부도시에서는 오염원의 가동을 줄이거나, 도로 교통량 제한 등을 제안하고 있지만, 과연 그러한 방법이 비용과 효율 면에서 지속가능한 방법인지, 보다 더 근본적인 대책이 없는지에 대한 의문이 남고 있다. 새로운 패러다임의 미세먼지 대책을 제시한다.

첫째, 올바른 정책목표의 설정이다. 대기층에 두껍게 퍼져 있는 미세먼지를 얼마나 줄여야 할까? 물론 모두 다 줄이면 좋지만 경제성을 따지면 불가능에 가깝다. 제어의 목표를 사람의 눈과 코의 높이에 있는 미세먼지로 잡아보자. 즉, 지상에서 2m 되는 지점까지 미세먼지의 농도를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다. 도시 전체에 클린 에어 벨트를 만드는 것이다. 개개인이 마스크를 써서 코앞의 미세먼지 농도를 줄여 클린에어 포인트를 만드는 것과 마찬가지 개념이다.

둘째, 미세먼지의 움직임을 잘 관찰하면 대책이 나온다. 비가 오면 미세먼지가 씻겨서 대기가 맑아진다. 물기 없는 마른 운동장에서는 바람에 바닥의 먼지가 풀풀 날린다. 나무 잎에는 먼지가 수북이 쌓인다. 그렇다면 비가 오도록 하자. 땅에서 증발된 수증기가 하늘로 올라가서 비가 된다. 지금처럼 빗물을 모두 하수도로 버린 도시에는 증발될 수증기가 없다. 도시의 표면을 빗물로 촉촉이 만들도록 도시계획을 하면 수증기가 올라가서 비를 내릴 확률이 많아진다. 운동장이나 도로에 물을 뿌려주면 가라앉은 먼지가 다시 떠오르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수돗물 대신 근처에 떨어진 빗물을 모아서 사용하면 된다. 도시나 건물 곳곳에 이파리가 많은 나무를 심으면 나뭇잎에서 미세먼지를 포집해서 농도를 줄여준다. 나무가 자랄 때 필요한 물은 모아둔 빗물을 이용하면 된다.

셋째, 도시 전체에서 시민들의 자발적 동참을 유도하자. 정부가 주가 되어 교통량을 줄여 선(線)적인 오염원을 줄이는 방안보다는 전체 면(面)에 걸쳐 있는 일반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를 구하면 더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일반시민들에게 공터에 나무를 심도록 하고, 옥상을 녹화하고, 산중턱이나 건물의 지붕에서 모은 빗물로 운동장에 물을 뿌리고, 꽃과 나무를 심도록 하면 시민들의 생활자체가 미세먼지 저감대책은 물론 건강한 생활환경이 조성된다. 이를 위한 현명한 도시관리 정책이 필요하다. 서울대학교 35동 옥상은 그러한 물-에너지-식량을 연계한 옥상녹화의 좋은 사례이다.

넷째, 다목적으로 하여 경제성을 높이는 것이다. 공장 가동을 잠시 멈추거나 교통량을 일시적으로 줄여서 미세먼지를 줄이는 방법은 경제성이 적다. 만약 미세먼지 저감대책과 물관리 대책을 연계하면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가령, 빗물을 산중턱에 모아두면 홍수도 대비하고, 가뭄도 방지할 수 있다. 모아둔 빗물로 도로를 청소하면 코 높이의 미세먼지를 줄일 수 있다. 여름에는 도로에 빗물을 뿌려 열섬현상도 줄일 수 있다. 산불예방도 되고, 도시의 경관도 좋아진다. 콘크리트 포장의 광화문 광장은 그런 면에서는 단세포적이다. 이와 같이 도시를 관리할 때, 다목적을 염두에 두고 정책을 만들면 안전은 물론, 경제성이나 시민의 체감효과, 도시의 환경친화성은 점점 커지게 된다.

점점 복잡해지는 미세먼지, 물, 열, 비상시 대책과 같은 복잡한 도시 환경 및 안전문제를 해결하기에 지금과 같은 정부 주도 단일목적의 시책은 현명하지 못하고 비용 효용성이 떨어진다. 시민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다목적의 시책으로 경제성을 높이는 정책이 필요하다. 앞으로는 복잡한 환경 및 안전문제를 다목적으로 시민과 함께 잘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비전을 제시하는 것이 도시관리자의 능력을 판단할 중요한 지표가 될 것이다.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