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산업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LG 경제연구원은 최근 우리나라와 같이 성장동력 발굴이 시급한 국가로서는 환경산업이 새로운 동력이 될수 있다며 온실가스 저감에 대한 목표설정과 같은 전략적 신호를 시장에 보내야 한다고 지적했다.

 

내년부터 온실가스 의무감축이 시작되면서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온실가스 감축 대책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직접적인 감축의무를 지고 있지 않은 우리 기업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게 공공연한 사실이다.

 

유럽연합(EU)의 경우 최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2012년까지 주행거리당 이산화탄소 배출을 km당 130g으로 줄이는 법안을 마련했다. 현재 우리나라 기업들은 km당 170g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고 있어 EU의 법안이 시행될 경우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는 각각 대당 900유로의 분담금을 지급해야 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분담금을 소비자에게 전가하지 않고 모두 기업이 떠안을 경우 이는 현대차와 기아차의 2006년 유럽시장 수출물량을 고려해 볼때 약 4억6000만유로(5579억원)를 부담하게 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 기업들의 경우 수출시장에서 환경규제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 감축 의무가 이미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자동차에 이어 항공산업이 감축의무를 이행하게 될 것으로 전망돼 화학과 철강산업 등에서 규제가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온실가스 규제에 따라 가장 많은 혜택을 보는 부문은 환경산업이다. 어차피 온실가스 감축 이행에 나서야 하는 만큼 우리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환경산업을 전략적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전통적으로 제조업이 강한 독일의 경우 2005년 환경산업 규모는 1500억유로로 자동차 2,800억유로, 기계산업 1700억유로에 미치지 못하지만 앞으로 2년안에 기계산업, 2020년에는 자동차 산업을 추월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에 교토의정서를 비준하지 않고 있는 미국은 환경관련 산업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저조하면서 세계시장에서 미국의 점유율이 급격히 하락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그동안 1차 온실가스 의무감축 대상국에서 빠지면서 환경산업에 대해 등한히 해온 게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우리에게 온실가스 감축의 간접영향이 다가오면서 환경산업은 물론 환경경영에 관심이 부쩍 늘고 있다. 우리는 모처럼 고조되고 있는 환경산업과 환경경영에 대한 인식을 차제에 크게 확산시켜야 한다고 믿는다. 이를 위해서는 환경산업에 일찌감치 신경을 바짝 곤두세우고 있는 유럽연합과 일본 등의 대기업을 벤치마킹하고 지금부터라도 따라잡고 앞서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해서는 안된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