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원자력 기술인력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소식이다. 최근 열린 한 워크숍에서 한국 원자력분야 기술진의 노령화가 심각하다는 발표가 나왔다.

 

우리나라는 전기의 약 40% 가량을 원자력발전소에서 생산하고 있다. 세계에서 6번째로 큰 원자력대국이다. 그런데도 원자력 기술인력이 부족하다니 보통 문제가 아닐수 없다.

 

그동안 원자력에 대해서는 방사능과 핵공포 때문에 ‘뜨거운 감자’로 인식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이런 사회적 분위기가 원자력 기술인력의 부족을 초래한 것이 아닌지 숙고해볼 문제다.

 

원자력 기술인력 부족은 미국도 마찬가지라고 한다. 1979년 미국 드리마일 아일랜드 원전사고가 있은 뒤 카터 행정부가 ‘원자력 죽이기’에 나서 원자력 관련학과가 많이 없어지고 원자력 발전도 줄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원자력은 세계적으로 다시 조명되고 있는게 요즘 추세다.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지구온난화가 점차 현실화되면서 기후변화에 대처하는 데는 역시 원자력발전이 큰 몫을 차지한다는 논의가 활발하게 벌어지고 있다.

 

물론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주범인 석유와 석탄을 대체하기 위해 태양광 풍력 조력 바이오에너지 등 대안이 활발하게 제시되고 있다. 이같은 신재생 에너지 개발에도 박차를 가해야 한다.

 

그런데도 원자력발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것은 발전 원가가 매우 저렴하기 때문이다. 원자력 발전 원가가 석탄이나 방카C유 액화천연가스(LNG)를 원료로 한 발전보다 싸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같은 추세에 따라 원전에 부정적인 입장인 유럽연합(EU)도 서서히 방향을 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원자력발전소 폐쇄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독일에서 조차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원전 가동시한을 20년 더 연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여기서 한발짝 더 나아가 독일 정부는 최근 원자력 연구지원금을 대폭 증액하기로 결정함으로써 원전 폐쇄정책을 재고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유럽의 경우 지난해 발생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천연가스 분쟁과 더불어 올초 러시아와 벨로루시가 벌인 송유관 통과세 부과분쟁으로 러시아산 석유와 가스 등 에너지 확보가 불안하다는 우려가 배경에 깔려 있다.

 

이런 추세를 감안해보면 우리도 원자력 기술인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원자력 대국답게 관련기술을 수출하는 방안도 활발히 모색해야 한다.

 

학계에 의하면 원자력 기술인력이 부족하게 된데는 학생들이 원자력 관련학과를 졸업한 뒤 대우가 좋은 해외로 빠져 나가는 경우가 많은 것도 큰 원인이라는 것이다. 원자력 기술인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보다 근본적인 대책이 시급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