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발 환경 규제로 수출장벽이 높아지고 있다. 유럽연합(EU)이 정한 환경 규제를 지키지 못하면 수출이 불가능하게 되면서다.

 

EU는 1990년대부터 제품의 환경규제를 강화했다. 생활필수품부터 시작해 컴퓨터 같은 완제품, 중간재로 사용되는 화학물질까지 규제를 확대했다.  

 

2006년 'EuRO Ⅳ'라는 자동차 배기가스 배출기준을 대폭 높인 데 이어 올해 말부터 석유화학제품을 겨냥한 규제를 시행한다. 업계에서는 최강의 환경 규제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우리나라에게 EU는 중국에 이어 제2의 수출시장이다. EU 수출은 2006년 484억 달러로 우리나라 전체 수출액의 14.9%를 차지했다.

 

600여개 유화업체는 연간 16억달러의 화학제품을 수출하면서 EU를 특별고객으로 삼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석유화학업계가 대응책 마련을 위한 준비에 분주하다.

 

LG화학은 협력회사들과 대책 마련을 강구하고 있다고 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 회사는 2006년부터 제품별로 원료의 상세한 내용을 분석하고 원료 구매처를 파악했다고 한다. 삼성토탈도 지난해 7월 담당 조직을 만들어 수출 대응전략을 짜고 있다.

 

일각에서는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면 유럽시장에서 한국산 화학물질 제품은 종적을 감추게 될지 모른다고 우려하고 있다.

 

환경 문제에 대한 사전예방이 강조되는 대목이다. 환경부하를 최소화하는 과제를 푸는 기업만이 살아남을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자연스레 시장에서 도태될 수밖에 없다.

 

또 기업에게 사후대응은 큰 비용이 들 수밖에 없다. 반면 사전예방은 '투자'다.

 

우리는 지금 수출 5000억달러 시대를 바라보고 있다. 환경규제를 새로운 기회로 보고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투자가 절실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