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10년간 추진과제 담은 멸종위기생물 보전 종합계획 수립
서식지 평가·분석·개선을 우선 시행, 멸종위기종 복원센터 신설도

[이투뉴스] 오는 2027년까지 반달가슴곰, 산양, 여우처럼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생물 25종이 복원된다. 환경부(장관 김은경)는 이같은 내용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보전 종합계획(2018∼2027년)’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이번 종합계획은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야생생물 보호 기본계획’의 하위대책으로, 멸종위기 야생생물 보전 대책의 이행을 목적으로 하는 10년 단위 계획이다.

종합계획에선 멸종위기종 개체 증식과 보충 위주로 복원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서식지를 먼저 평가·분석하고 개선하는 등 멸종위기종 복원의 근원적인 측면을 고려한 대책을 담고 있다.

환경부는 우선 종합계획의 미래상(비전)을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안전한 서식처, 생명의 한반도’로 정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서식지의 조화로운 연결·복원과 함께 2027년까지 25종의 복원을 목표로 삼았다.

이를 위해 ‘멸종위기 야생생물 서식지 보전 강화’ 등 멸종위기종 증식·복원에 앞서 서식지를 사전 평가하고 적합한 서식여건으로 되돌리기 위한 조사·연구와 개선사업을 진행한다. 또 멸종위기종 267종 중 현재 복원 중에 있는 반달가슴곰을 비롯한 64종을 ‘복원대상종’으로 선정하고, 이 중 우선 복원대상종으로 무산쇠족제비, 양비둘기, 금개구리 등 25종을 선정해 조사·연구·복원사업을 추진한다.

전략별 추진과제도 마련했다. 먼저 멸종위기 야생생물 서식지 보전 강화를 위해 산줄기·하천·습지 등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서식지를 보전한다. 더불어 멸종위기종 서식지 조사·평가 결과 개선이 필요한 서식지에 대해서는 생태축 연결·복원 사업이 적용되도록 하는 등 서식지 보전 기능을 강화할 계획이다.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서식지를 평가·분석하고 개선한다. 이를 위해 전국의 멸종위기종 서식지를 사전 평가하여 서식환경을 개선하는 한편 기후변화 시나리오와 연계해 종별 기후변화 취약성을 평가하고 서식지 변동가능성에 따른 신규 서식지를 발굴·보전한다.

서식환경 조사를 통해 종별 위협요인을 분석해 외래종, 오염물질, 인간간섭, 올무 등을 제거하고 밀렵 감시를 강화한다. 도로관리청 등이 생태통로를 설치하기 전에 환경부와 사전협의하고, 야생동물 찻길 사고 현황을 정보(DB)화해 동물이 자주 다니는 길목에 생태통로, 유도방벽(펜스) 등 저감대책이 적용되도록 이끈다.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체계적 복원을 위해 장수하늘소, 한라송이풀 등 64종을 복원대상종으로 선정해 기초조사와 복원기술 개발에 착수한다. 64종 중 복원 중인 반달가슴곰을 비롯해 금개구리, 나도풍란 등 복원이 시급하고 가능성이 큰 25종을 ‘우선 복원 대상종’으로 정해 향후 10년 내 복원을 목표로 서식지 개선과 복원사업을 병행할 계획이다.

멸종위기종 보전정책 추진의 핵심기관인 ‘멸종위기종복원센터’도 신설, 멸종위기종 복원에 대한 통합관리체계를 구축한다. 경북 영양에 설립되는 멸종위기종복원센터는 그동안 국립생물자원관이 수행하던 멸종위기종 조사·연구 및 멸종위기종 정보(DB)관리 기능을 맡는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2020년까지 반달가슴곰 등 주요 종 복원사업을 현행과 같이 수행하고, 그 후에는 야생적응훈련, 야생방사, 관찰(모니터링) 등 서식지와 현장 관리 기능으로 전환될 예정이다.

정종선 환경부 자연보전정책관은 “앞으로 10년간 서식지 개선과 종 복원을 위한 세부과제들을 잘 이행해 한반도의 많은 생물들이 비무장지대(DMZ)에서 만나고 백두대간 생태축을 따라 안전하게 남북을 서로 오가며 공존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겠다”라고 말했다.

채덕종 기자 yesman@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