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년 만에 대규모 공공택지 공급…막혔던 수요개발에 큰 도움
고양-한난, 부천·인천-GS파워, 하남-하남ES, 남양주-별내 유력

[이투뉴스] 정부가 3기 신도시 입지를 확정·발표함에 따라 잠잠하던 집단에너지업계가 모처럼 활기를 띠고 있다. 2기 신도시 이후 거의 15년 만에 대형 택지개발사업이 진행돼 지역난방 수요개발에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국토교통부는 최근 3차 신규택지로 고양 창릉과 부천 대장 등 2곳에 5만8000호 규모의 신도시를 짓고, 서울 및 경기권 중소 유휴부지 26곳에 5만2000호를 공급한다고 발표했다. 앞서 발표한 3곳의 신도시(남양주 왕숙, 하남 교산, 인천 계양) 및 중소규모 공공택지에 이은 것으로, 수도권에 모두 30만호의 주택을 건설하는 계획이다.

3기 신도시로 불리는 이들 5개 택지개발지구는 지구별로 2만∼6만호 내외의 공동주택이 들어설 예정이다. 1기와 2기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최근에 나온 택지개발사업 치고는 부지면적 및 공급호수에 있어 규모가 상당한 편이다. 아울러 5000∼1만호 내외의 중소 택지지구도 5곳 가량이 포함됐다.

정부는 3기 신도시를 제로에너지타운 및 수소BRT 등 친환경·에너지 자립도시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따라서 중대규모 사업지구의 경우 모두 집단에너지 공급대상지역으로 지정될 것으로 보인다. 집단에너지 공급타당성 협의를 필요로 하는 법적요건(1만가구 또는 60만㎡ 이상)에 충족하는데다 모두 기존 지역난방 공급지역 인근에 위치해 있어 경제성도 충분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기존 신도시 대비 2배 수준의 자족용지를 확보(주택용지의 3분의 2 이상)하는 것은 물론 스타트업 육성 등을 위해 기업지원허브, 창업지원주택 등도 공급한다는 방침을 표명했다. 이는 일반용 열수요가 늘면서 최대열부하 역시 기존 신도시보다 많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집단에너지사업에 더 유리한 환경을 제공한다.

신도시별로 고양 창릉의 경우 한국지역난방공사가 공급권을 확보한 고양 원흥지구 바로 옆에 붙어 있다. 공급세대가 3만8000호 수준으로 단독사업을 추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는 점에서 한난 공급이 유력하다. 한난 역시 파주-일산-삼송 열병합발전소는 물론 서울복합과도 연계공급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욕을 보이고 있다.

부천 대장과 인천 계양은 행정구역은 다르지만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고 있다. 대장이 2만호, 계양 1만7000호 등 모두 합해도 3만7000호에 그치고 열공급부지 확보도 쉽지 않아 이 역시 인접사업자인 GS파워 외에는 공급이 쉽지 않다는 분석이다. 부천열병합발전소 현대화를 추진 중인 GS파워도 사업참여를 적극 검토한다는 입장이다.

3만2000호 규모의 하남 교산은 하남에너지서비스 공급지역 바로 옆이라는 점에서 이변이 없는 한 사업권이 다른 곳으로 갈 확률은 거의 없다는 의견이 많다. 이미 400MW에 달하는 열병합발전소를 갖추고 있으나 공급세대가 부족해 어려움을 겪는 하남에너지서비스 입장에서는 천군만마를 얻는 셈이다.

남양주 왕숙은 3기 신도시 중 가장 규모가 크다. 1134만㎡ 부지에 6만6000호가 들어설 예정으로, 2기 신도시 규모를 뛰어 넘는 수준이다. 연계공급만으로 지역난방 공급이 어려운 만큼 별도의 열원설비도 갖춰야 한다. 유일하게 신규 사업자가 노릴만한 집단에너지사업지구로 꼽히는 이유다.

하지만 별내에너지가 공급하는 다산신도시와 붙어 있다는 점에서 동일권역으로 봐야 하며, 별도열원을 짓는다 해도 연계사업이 훨씬 유리할 것이라 분석이 우세하다. 같은 계열사인 대륜발전·별내에너지가 이미 연계공급을 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우선권을 가질 수밖에 없는 구조인 셈이다. 이같은 시장상황을 감안, 남동발전 등 일부 발전회사가 500MW급 발전소를 신설하는 내용의 공동사업을 대륜에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3기 신도시 외에도 이번에 지정된 안산 장상(1만3000호)과 신길2(7000호), 용인 구성(1만1000호), 수원 당수2(5000호) 역시 지역난방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 1∼2차에서 확정한 과천지구, 인천 검암·경서, 의왕 포일, 고양 탄현 등도 1만가구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기존 공급권역 인근에 있어 가능성은 충분하며, 해당 사업자들 역시 수요개발 의지가 크다.

국내 집단에너지사업은 2000년대 초반부터 중반까지 2기 신도시 및 혁신도시가 등장하면서 붐을 이뤘으나, 이후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이 사라지고 미니신도시급 중소택지만 공급되면서 침체국면을 벗어나지 못했다. 따라서 이번 3기 신도시 및 중소 공공택지가 본격 공급되면 정체기에 머물던 지역난방 수요개발에 상당한 도움을 줄 전망이다.

특히 신규사업자 진입이 아닌 대부분 기존 사업자의 연계공급이 유력하다는 점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후발업체가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는데 역할을 할 것이란 기대가 커지고 있다. 다만 일부에서는 넓은 공급권역을 가진 대형 사업자들에게 여전히 많은 기회가 주어져 부익부-빈익빈을 심화시킬 것이란 지적도 나온다.

집단에너지업계 관계자는 “택지개발계획이 나오고 에너지공급계획에 대한 협의가 끝나는 내년쯤에야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할 수 있어 아직 단정하기는 힘들지만 10년이 훨씬 넘는 동안 침체돼 있던 지역난방사업에 호재인 것은 분명하다”고 분석했다.

채덕종 기자 yesman@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