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투뉴스] 한때 태양광 패널이 중금속 범벅이라는 뉴스가 퍼졌다. 이후 많은 관계기관과 업계가 나서 전혀 사실이 아니라는 팩트체크가 이뤄졌으나, 여전히 이를 믿고 있는 사람이 적잖다. 한 번 세상에 퍼져버린 가짜뉴스를 바로잡기 위해 몇 배 이상 많은 뉴스를 내보내도 인식개선이 쉽지 않다는 분석도 곳곳에서 나온다.

지난해 피크를 이뤘던 에너지 분야 가짜뉴스가 여전히 수그러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태양광 확대 등 에너지전환을 중심으로 시작됐던 가짜뉴스가 탈원전과 에너지가격 등으로 확산되고 있다. 가까뉴스는 정확한 사실관계를 확인하지 않은 채 자기 입맛대로 뉴스를 작성해 내보내는 언론에 1차적인 책임이 있다.

특히 사실관계를 잘 못 짚어서 나온 뉴스는 그다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곧바로 팩트를 확인해서 수정하면 되기 때문이다. 오히려 사실을 교묘하게 왜곡, 독자와 대중을 의도하는 방향으로 끌고 가려는 뉴스가 더 문제다. 가짜뉴스를 통해 정권을 공격하려는 정파적 의도가 담겨 있는 사례가 대부분이다. 보수와 진보로 나뉜 정치·언론 환경이 이를 부채질한다는 분석이다.

언론사에서만 가짜뉴스를 만드는 것이 아니다. 요즘은 에너지관련 민원이 걸려있거나 문제가 발생한 지역의 경우 시민단체 또는 주민들이 다양한 뉴스와 정보를 짜깁기, 국민을 호도하는 경우도 많다. 유튜브 열풍이 불면서 한탕(?)을 노리는 개인들도 가세하고 있다. 특정사안에 대해 긍정적인 내용은 모두 걸러내고 부정적인 내용으로 도배하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다.

언론이든 시민이든 누구나 정부 정책과 방향에 대한 건전한 비판은 당연한 권리다. 대안까지 함께 제시하면 더욱 좋겠지만, 비판을 한다는 자체도 관심과 참여의 한 형태라는 점에서 잘못됐다고 볼 수 없다. 문제는 선입관과 편견을 가진 채 자신에게 유리한 정보, 자신의 신념에 맞는 정보만 선택적으로 받아들여 이를 비판의 수단으로 삼는 것이다.

개인의 확증편향(다양한 정보 중에 자기 입맛에 맞는 내용만 골라 수용하는 것)까지 문제 삼을 수는 없다. 이를 부추기는 언론과 단체가 상당수라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여기에 사실을 가장 잘 아는 정부나 관련 공공기관이 앞에 나서지 않고 슬그머니 뒤로 빠지는 것도 심각하다. 언론이나 특정단체와 부닥쳐서 좋은 것이 없다는 무사안일주의가 가짜뉴스를 부채질한다.

에너지 가짜뉴스가 넘쳐나는 한 국가 에너지 백년대계는 물 건너간다. 정파적 입장에 치우쳐 정책이 좌우된다면 정권이 바뀔 때마다 에너지 정책방향 역시 이리저리 흔들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더 이상 뒷짐만 지고 앉아 있을 때가 아니다.

채덕종 기자 yesman@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