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욱 이투뉴스 발행인

[이투뉴스 사설] 정부는 지난달 말 수소경제위원회를 열고 2050년까지 청정수소 자급률을 60%로 높이겠다는 것을 골자로 한 야심찬 제 1차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그러나 업계와 전문가들은 정부의 이같은 수소기본계획이 현실성이 있는지에 대해 고개를 갸우뚱하고 있다.

기본계획에 따르면 2050년까지 연간 2790만톤의 수소를 100% 청정수소로 공급한다. 청정수소는 생산할 때 탄소배출이 없는 그린수소와 생산과정에서 나온 탄소를 포집 및 저장하는 블루수소를 말한다.

정부는 목표연도인 2050년 전체 수소 수요의 20%인 558만톤을 국내에서, 40%인 1116만톤은 우리 자본과 기술을 활용해 호주 등 해외에서 생산한다는 계획. 나머지 40%는 해외에서 수입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정부는 이를 위해 재생에너지와 연계한 물 분해 실증을 통해 그린수소의 대규모 생산기반을 마련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생산단가를 대폭 감축하겠다고 밝혔다. 즉 그린수소 생산 확대로 2030년 25만톤을 kg당 3500원에 생산하는데 이어 2050년에는 단가를 30% 가량 낮춘 kg당 2500원으로 무려 300만톤을 생산하겠다는 것이다.

그린수소 생산은 그렇다 하더라도 문제는 우리 기술로 생산하든 해외 제품이든 간에 수소수요의 80%를 해외에서 들여오는 것으로 돼 있다는 것. 수소를 액화해 대량을 장거리에서 들여오는 것은 여러 가지 장벽이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액화천연가스(LNG)는 발화와 폭발 위험이 낮아 국가간 수송체계가 안정적으로 구축돼 있지만 액화수소는 아직까지 액화·운송·저장의 리스크가 매우 크기 때문에 수입비용이 천문학적 수준일 것으로 예상된다.

수소는 운송 과정의 안전성이 담보되지 않고 있는데다 액화수소 역시 비상 상황으로 공기중에 배출되면 정전기 정도의 불씨만 있어도 발화 및 폭발 가능성이 있을 정도로 위험성이 높다.

이같은 운송 리스크와 함께 운송비용 또한 만만치 않다고 학계는 보고 있다. 수소는 끓는 점(마이너스 252.8도)과 임계온도(마이너스 240도)가 절대영도(마이너스 273도)에 가까울 정도로 매우 낮다. 이는 LNG의 주성분인 메탄의 끓는점이 마이너스 160도 임계온도가 마이너스 82도와 비교해볼 때 끓는점과 임계온도가 낮다는 것은 그만큼 비용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고 업계는 설명한다.

더욱이 정부가 의욕적으로 수소기본계획을 내놓았지만 관계부처간의 이견으로 국가전략기술에서 수소는 빠졌다. 수소기본계획이 순조롭게 진행되기 위해서는 관련 기술이 뒷받침돼야 하나 기획재정부의 반대로 누락되고 말았다. 수소경제 실현이 그만큼 멀고도 험한 길이라는 것을 예고하는 증거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