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집중서 벗어나 지열·수열에너지, 연료전지 등 활용
2021년 4.3%인 신재생비율 2030년까지 21%로 확대 계획

[이투뉴스] 박원순 시장의 갑작스런 죽음과 오세훈 시장 등장으로 퇴조하는 듯한 모습을 보였던 서울시 신재생에너지 보급정책이 다시 본궤도 진입을 서두르고 있다. 다만 태양광 중심에서 탈피해 지열·수열에너지와 연료전지까지 고른 에너지원을 통한 보급목표 달성으로 무게중심이 바뀐 모습이다.

서울시는 온실가스 배출의 91%가 에너지 소비에서 발생하는 것은 물론 석유·가스 등 화석연료에 절대적으로 의존(67%)하고 있는 상황을 탈피하기 위해 향후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대폭 확대하겠다고 최근 밝혔다. 화석연료에서 벗어나는 한편 기후위기에 적극 대응한다는 명분을 내세웠다.

시는 우선 2021년 기준 4.3%(0.8GW) 수준에 머물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을 지열, 수열, 소수력, 연료전지, 태양광 등 다양한 에너지원으로 균형 있게 보급해 2026년 12.6%(1.6GW), 2030년 21%(2.4GW)까지 끌어 올린다는 계획이다.

▲종합에너지스테이션 원별 활용도.
▲종합에너지스테이션 원별 활용도.

화석연료를 대체해 건물 냉·난방에너지를 줄일 수 있는 지열에너지는 재정투자, 민간융자지원, 신축건물 설치의무화를 통해 오는 2030년까지 모두 600MW를 보급한다. 이를 위해 올해 서울시 소유건물 3개소, 반포 재건축사업, 신축 공공건물 등 18MW를 보급하는 등 2030년까지 재정투자 및 제로에너지건축 의무화를 통해 600MW를 단계적으로 채워간다는 목표다.

수열에너지는 올해 환경부 공모사업 선정지와 반포 아파트단지 재건축사업에 19MW를 보급하는 등 대규모 도시개발사업 및 신축건물을 중심으로 2030년까지 누적 305MW를 공급할 계획이다. 한강의 수열에너지와 상수도 원수를 활용하는 사업이 주력이 될 전망이다.

한강 잠실수중보(잠실대교 북측 2.5MW)의 낙차를 활용한 소수력발전시설 구축에도 나서 올해 설계를 거쳐 내년 완공, 모두 3440가구에 친환경 전기를 공급할 예정이다. 또 암사정수센터에도 배관망 간 낙차를 이용한 150KW급의 소수력발전시설을 올해 안으로 설치하는 등 2030년까지 5MW를 확충한다.

한정된 공간에 적합한 분산형 전력공급시설인 연료전지의 경우 올해 물재생센터 등 공공시설에 53MW 규모의 보급을 추진하는 등 2030년까지 공공 유휴부지 발굴 및 민자 투입으로 600MW까지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주유소에 연료전지와 태양광을 동시에 설치해 직접 전기를 생산하고, 전기차 충전시설까지 갖춘 ‘종합에너지스테이션’을 2030년까지 서울시 전체로 확대하겠다는 야심찬 계획도 내놨다. 

시는 차량 접근성이 좋은 도심 내 주유소 및 LPG충전소를 친환경자동차 충전인프라 확충과 신재생에너지 공급거점시설의 최적지로 보고 있다. 지난 2월 연료전지까지 포함한 국내 최초의 종합에너지스테이션으로 개장한 금천구 박미주유소처럼 정유사와 민관협력체계를 구축해 올해 10개 주유소 전환을 시작으로 보급을 늘릴 방침이다.

한편 태양광은 과거 양적 확대에 치중했던 보급정책에서 벗어나 건물일체형태양광(BIPV) 등 신기술, 고효율 중심으로 전환한다. 올해는 공공청사, 태양광 신기술 시범사업 선정지, 철도부지 등에 40MW를 보급하는 등 오는 2030년까지 모두 800MW를 설치한다.

이를 위해 2021년부터 서울에너지공사가 운영 중인 ‘태양광 신기술 실증단지’를 통해 BIPV, 방음벽 태양광 등 15개 신기술에 대한 기술검증을 계속하고, 올해 8월에는 우수 태양광 기술을 공공 시설물에 우선 적용하는 시범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민간 건축물의 건축 자재를 건물일체형태양광으로 전환할 경우 설치비의 최대 80%까지 보조금을 지원한다.

시는 아울러 미활용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해 규제개선 등 정부부처에 제도개선 건의도 병행한다는 계획이다. 주유소의 종합에너지스테이션 전환을 비롯해 연료전지보급 확대를 위한 주민지원방안 개선, 수열에너지 범위를 미활용 수자원까지 확대, 비상전원인 경유발전기를 연료전지로 대체 등이 중점대상이 될 전망이다.

원전하나줄이기로 대표되는 서울시의 에너지전환정책은 오세훈 시장체제로 바뀌면서 전환점을 맞을 것이라는 예측이 대두됐다. 오 시장이 미니태양광 보급사업 등에 대한 문제제기에 나서면서 에너지정책의 틀을 대대적으로 바꿀 것이란 이유에서다.

하지만 최근 뚜껑을 연 오세훈의 서울시 에너지정책은 신재생에너지 확대정책의 유지로 결론낸 모양새다. 다만 태양광에 치중됐던 정책에서 벗어나 지열 및 수열에너지, 연료전지 등 다양한 에너지원을 활용하는 것으로 방향만 일부 수정했다.

유연식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선 먼저 온실가스 주범인 화석연료를 줄여야 한다”며 “서울 에너지 소비의 67%를 차지하는 화석연료를 다양한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도록 정책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채덕종 기자 yesman@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