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내에너지+남동발전 컨소시엄, 산업부에 사업허가 신청
서울에너지공사+동서발전+포스코, 나래ES도 가세 확실시

[이투뉴스] 3기 신도시 중 최대규모인 남양주 왕숙지구 집단에너지사업권을 둘러싼 힘겨운 줄다리기가 본격 시작됐다. ‘별내에너지+남동발전’ 컨소시엄이 선공에 나선 가운데 ‘서울에너지공사+동서발전+포스코에너지’와 ‘나래에너지서비스+서부발전(?)’도 출격할 예정이어서 치열한 3파전이 예상된다.

별내에너지(대표 전동수)와 한국남동발전(대표 김회천) 컨소시엄은 지난달 28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남양주 왕숙 및 왕숙2 공공주택지구 집단에너지사업 허가를 신청했다. 집단에너지사업허가 대상자 선정기준에 따라 최초 접수일로부터 30일(4월26일) 이내까지 별도 허가신청이 없으면 단독으로, 추가 신청이 들어올 경우 경쟁을 통해 사업권 향방이 결정된다.

별내에너지와 남동발전은 지난해 2월 왕숙지구 집단에너지 공동개발협약(JDA)을 체결, 사업허가를 준비해왔다. 양사가 손을 잡은 것은 별내에너지의 집단에너지 공급경험과 남동발전의 발전사업 노하우가 합쳐질 경우 충분한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별내에너지는 왕숙 1, 2지구와 인접한 별내신도시 및 다산신도시, 갈매지구 등에 지역난방을 공급하고 있어 열연계 등의 측면에서 가장 유리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별내+남동 컨소시엄은 사업계획서를 통해 왕숙1지구에 500MW급 열병합발전소(사용연료 LNG)를 신설, 추후 입주민들에게 전기와 지역냉난방을 동시에 공급한다는 목표를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발전용량을 키운 것은 발전효율은 물론 왕숙지구 인근에 양정역세권지구(예정), 오남·진접지구 등으로 확장성이 충분하다는 이유에서다. 아울러 왕숙-다산-별내-양주옥정지구까지 수도권 동북부지역 전체를 연계, 효율적인 열공급에 나서겠다는 야심찬 계획도 내비쳤다.

▲남양주 왕숙지구 위치도.
▲남양주 왕숙지구 위치도.

왕숙 1, 2지구는 당초 별도 택지지구로 집단에너지 공급지정이 이뤄졌으나 거리가 멀지 않은 만큼 두 지구를 통합해야 한다는 의견에 따라 단일 공급대상지역으로 합쳐졌다. 경기도 남양주시 진전읍 및 진건읍 일원 1098만㎡의 땅에 모두 6만8000호(왕숙1 5만4000호, 왕숙2 1만4000호)의 공동주택이 들어서는 등 3기 신도시 중 최대 규모다.

특히 수도권 택지개발지구 중 광명시흥지구와 함께 별도열원이 필요해 새로운 사업자가 참여할 수 유이한 사업지구라는 점 때문에 수도권에 남은 마지막 노른자위로 평가받고 있다. 따라서 이번에 사업허가를 제출한 별내+남동 컨소시엄 외에도 적잖은 사업자가 사업권에 도전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먼저 서울에너지공사를 필두로 한국동서발전, 포스코에너지가 컨소시엄을 구성, 사업허가 신청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다. 서울에너지공사와 동서발전 역시 2020년부터 협력체계를 구축해 사업준비를 해왔으며 나중에 포스코에너지가 참여의사를 피력, 최종 3사가 컨소시엄 구성에 합의했다.

서울에너지공사 컨소시엄은 급변하는 사업환경에 대비 왕숙지구 열병합발전소 설비규모를 300MW∼500MW급까지 다양하게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추후 왕숙지구에서 별내에너지 공급권역을 거쳐 서울 노원지구까지 연계, 최적의 열공급 네트워크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SK E&S 자회사인 나래에너지서비스의 왕숙지구 사업허가 신청도 확실시되고 있다. 당초 한국서부발전도 나래ES와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했으나 아직은 유동적이라는 의견도 있다. 나래에너지서비스 관계자는 서부발전과의 컨소시엄 구성에 대해 아직 검토 중이라며 말을 아꼈다. 따라서 컨소시엄 구성 및 개별 허가신청 여부 등은 뚜껑을 열어봐야 알 수 있을 전망이다.

다만 나래에너지서비스의 참여의지는 확고하다. 기존 공급권역인 서울 위례신도시 및 하남 강일·고덕·미사지구에 이어 3기 신도시 중 하나인 교산지구에서 멈추지 않고 한강을 넘어 북쪽으로 사업영역을 넓혀가겠다는 의지를 밝히고 있다. 왕숙지구에 500MW급 열병합을 신설, 서울에서 시작해 하남과 남양주까지 서울·경기 동북부권역을 아우르는 공급시스템을 갖추겠다는 목표다.

집단에너지업계는 왕숙지구 집단에너지사업권과 관련 이들 3개 컨소시엄을 주축으로 치열한 경쟁구도가 형성될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발전자회사와 에너지기업, 건설업체 등의 추가 참여도 배제할 수 없다고 분석하고 있다. 사업권을 따낼 경우 중대형 LNG발전소  및 배관망 건설 등 메리트가 많은 만큼 언제든 도전에 나설 가치가 충분하기 때문이다.

채덕종 기자 yesman@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