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VPP·플러스DR·마을별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제주에너지연구소' 설립 지역수용성 높일 계획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원희룡 전 제주도지사가 작년 3월 제주시 구좌읍 신재생에너지 홍보관에서 열린 '지역 주도의 분산에너지 활성화 대책' 발표식 후 인근 충전시설을 둘러보고 있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원희룡 전 제주도지사가 작년 3월 제주시 구좌읍 신재생에너지 홍보관에서 열린 '지역 주도의 분산에너지 활성화 대책' 발표식 후 인근 충전시설을 둘러보고 있다.

[이투뉴스] 제주도를 분산에너지 특구로 지정해 다양한 시장·제도 개혁안을 시범 적용하겠다는 정부 계획이 후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역 주도 분산에너지 활성화 대책' 발표 이후 1년여 만에 수립된 제주 분산에너지 기본계획에 이런 내용이 빠져 있기 때문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2일 오후 제주도 CFI에너지 미래관에서 박기영 차관과 구만섭 제주도지사 권한대행, 한화에너지·제주에너지공사·그리드위즈·인터택·에코브레인·대륜엔지니어링 등 관련기업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제주형 분산에너지 추진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정부는 이번 기본계획을 통해 분산에너지 친화형 인프라를 구축함으로써 빈번한 제주의 재생에너지 출력제한을 해소하겠다는 방침이다. 대규모 ESS(에너지저장장치)와 그린수소(P2G), 열에너지활용(P2H) 등의 섹터커플링 기술을 활성화 해 민간에 확대하기로 했다. 

제주도는 출력변동성이 큰 태양광·풍력 설치량이 870MW에 달할 정도로 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지만 잦은 출력제한과 지역주민의 수용성 저하로 설비 추가 확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작년 3월 분산에너지 활성화 대책을 발표하면서 제주에서 전력 생산자와 소비자간 직접 거래를 특례로 허용하는 등 파격적인 시장·제도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공언했었다.

하지만 이번 기본계획에는 보조서비스 시장 등의 가치보상체계를 설계하고 분산에너지 특구를 추진한다는 원론적 내용만 담겼다. 

대신 산업부는 분산에너지 기반 전력신산업 육성을 위해 통합발전소(VPP), 플러스DR 확산 모델을 발굴하고 마을별 특성을 가미한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재생에너지 설비 주민수용성 확대는 전문가와 관계기관이 참여하는 추진협의체 및 포럼 운영과 가칭 '제주에너지연구소' 설립으로 푼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추진협의체를 통해 전기차 충전과 기존 내연기관 주유가 동시에 가능한 에너지슈퍼스테이션을 확대하고, 중장기적으로는 도내 전문 연구소를 설치해 지역주도의 분산에너지 확대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박기영 산업부 제2차관은 "이번 계획은 중앙정부가 제시한 정책방향을 지역의 고민을 담아 계승 발전시킨 것"이라며 "중앙과지방, 전문가들의 긴밀한 협업을 토대로 원활한 분산에너지 확산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구만섭 제주특별자치도 도지사 권한대행은 분산에너지 활성화에 대한 새정부의 국정과제 반영과 조속한 특별법 국회 통과 등을 건의하면서 "정부와 수립한 기본계획을 통해 출력제어를 해소하고 재생에너지와 분산에너지 확대모델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이상복 기자 lsb@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