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중국 수입량 4분의 1토막
2~3년내 아시아 포함 급감할 듯

[이투뉴스] 중국과 아시아 지역의 석탄수입량 감축 조치로 호주 석탄산업이 막다른 길로 내몰리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석탄으로 경제활동을 이어가던 호주 탄광지역들도 이런 변화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21일 <가디언>이 국제학술지 줄 저널(Journal Joule)을 인용해 보도한 바에 의하면, 2025년까지 중국 석탄 수입량은 2019년(2억1000만 톤) 대비 4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중국이 자국내 수송 여건을 개선해 자체 석탄 수급량을 늘리고, 탄소배출 제로 정책으로 전체 석탄 소비량을 줄인다고 있어서다.

계획대로 탄소배출 저감 노력을 기울일 경우 호주산 석탄 수입 하락세는 현재보다 2배 빠른 속도로 진행될 것이며, 이럴 경우 2025년 수입량은 1억1500만톤까지 감소할 것이란 분석이다.

철강 제조에 사용되는 점결탄 수출량도 비슷한 하향세에 직면한 것으로 관측됐다. 학술지 연구진은 개별 발전소들과 철강 제조공장의 석탄 수요 전망치를 수집하기 위해 위성과 다양한 정보, 신규 교통 수송망이 얼마나 확대되고 있는지 분석했다.

호주산과 인도네시아산 석탄수입을 대체하기 위해 중국 내륙부터 해안가 소비 지역까지 철도 노선이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주 국립대학 크로포드 공공 정책과의 조릿 고슨스 연구원은 “중국은 발전용 석탄과 점결탄(원료탄) 수입을 향후 5년에 걸쳐 4분의 1로 줄일 것"이라며 "두드러진 하락세며 이는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정치권도 석탄산업의 미래에 대해 회의적이다. 그는 "스콧 모리슨 총리와 앤소니 앨버니스 노동당 대표가 호주 석탄 수출 산업이 앞으로 희망적이지 않다는 점을 유권자들에게 밝히고 있다"고 말했다.

고슨스 연구원은 “석탄 채굴 지역의 근로자들과 관련 산업계, 지역 정부들이 이번 연구 결과에 주목하길 바라고 있다”며 “석탄 산업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대비책 마련을 더 서두를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2020년 중국은 호주산 석탄과 원자재 수입을 금지한 바 있다. 호주 정부가 중국의 코로나 발원설 조사를 주장하자 중국이 호주산 제품 수입을 중단해 양국의 관계가 최악으로 치달았다.

그러나 석탄 부족 사태가 심각해지면서 중국 측은 호주산 석탄 수입을 재개했다. 중국의 석탄 소비량은 지난 5~8년간 변동없이 유지돼 왔다.  그러나 향후 2~3년 내에 하락세가 본격적으로 시작될 것이라고 고슨스 연구원은 내다봤다.  

중국 내몽고 지역에서부터 1800km 길이의 하오지 철도사업 등 기반시설 투자로 석탄 수입 의존도를 크게 낮출 것이란 분석이다. 

자체 공급 시스템은 경제적으로 큰 이득은 아니더라도 정치적으로 불안하며 비우호적인 관계를 바탕으로 한 것보다는 낫다는 판단도 있다.

호주의 발전용 석탄 수출량은 2019년 5000만톤에서 2025년 3000만~4000만톤으로 줄고, 점결탄 수출량은 2019년 3000만톤에서 2025년 2000만~2200만톤으로 축소될 것으로 연구원은 내다봤다.  

이번 연구논문의 공동 저자인 프랭크 요트조 ANU 교수는 “각 지자체 정부들과 투자자들은 현재 불안한 에너지시장에서 단기적 이득을 고려하는 것보다 중장기 전망에서 이 결과들이 의미하는 바를 현명하게 생각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호주 뉴캐슬산 석탄 수출가는 올초 톤당 400달러 이상까지 올랐으나 최근 300달러 이하로 떨어졌다. 요트조 교수는 “석탄은 내리막길에 들어설 것”이라며 “대체 경제 미래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대상은 아니었지만 인도도 중국과 비슷한 전략을 펼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탄소배출 저감을 이유로 석탄 수요를 줄이는 동시에 자국산 석탄 제품의 질이 발열량에서 부족하더라도 지역 생산자들이 선호하는 방침이라서다.

호주 석탄 산업의 다른 주요 아시아 시장인 한국과 일본, 대만은 모두 2050년까지 배출 제로를 선언했다.  

조민영 기자 myjo@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