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 10차 전력계획 소위서 ESS·복합화력 검토
제주인수기지서 연료 조달…제3 부지확보 관건

▲가스공사가 건설한 제주LNG인수기지 전경. 제주지역에 LNG발전소가 신설되면, 이곳에서 공급된 연료가 사용될 예정이다.
▲가스공사가 건설한 제주LNG인수기지 전경. 제주지역에 LNG발전소가 신설되면, 이곳에서 공급된 연료가 사용될 예정이다.

[이투뉴스] 정부와 전력당국이 제주지역의 미래 전력수요 증가에 대응해 수소혼소가 가능한 300MW규모(설비용량 기준) LNG발전소를 추가 건설키로 하고 구체적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제주도는 880MW에 이르는 재생에너지 설비 발전량을 계통에서 모두 수용하지 못해 지난해 64회나 태양광·풍력 가동을 제한한 곳이다.

30일 발전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제주소위원회를 통해 제주지역 최대전력이 각각 2025년 1350MW, 2030년 1563MW, 2036년 1660MW 순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고, 건설이 확정된 설비 이외 연도별 부족량(2030년 422MW·2036년 582MW)을 LNG발전소와 ESS로 충당할 계획이다.

한 당국자는 “제주지역 최대수요 전망값이 9차 전력계획 대비 10%이상 증가했고, 당장 내년부터 수급상황이 크게 악화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무엇보다 전력피크가 주간이 아닌 오후 8~9시로 옮겨가면서 태양광·풍력만으로는 부족한 전력을 원활하게 공급하기 어려운 여건이 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재생에너지 변동성은 배터리계열 ESS, 야간 피크부하는 LNG복합으로 대응한다는 구상이다. ESS의 경우 110~170MWh 내외를 신설 저탄소중앙경매시장을 통해 확충하고, LNG발전소는 300MW규모로 발전사들의 건설의향을 받아 경쟁으로 사업자를 선정할 방침이다. ESS는 내년에 입찰을 시작해 이듬해 준공하고, LNG는 2027~2028년 사이 완공하는 일정이 논의되고 있다.

이달 현재 제주에서 가동되고 있는 중앙급전 발전기는 제주LNG복합 1,2호기(중부발전) 200MW, 남제주기력 1,2호기(남부발전, 중유) 200MW, 한림LNG복합(남부발전) 100MW, 제주기력 2,3호기(중부발전, 중유) 150MW, 남제주복합 75MW 등 모두 910MW이다.

비중앙으로 분류된 재생에너지의 경우 태양광 558MW, 풍력 295MW, 바이오 6MW, 매립가스 1MW 등 모두 880MW로 기존 화력발전기 설비용량에 육박한다. 다만 실제 발전량 점유율은 중앙급전기가 절반을 차지하는 가운데 재생에너지가 20%, 나머지 30%를 육지연계선(HVDC 해저케이블)이 공급하고 있다.

LNG복합 신설부지는 기존 발전소에 여유부지가 없어 제주에너지공사가 보유한 제3의 장소로 낙점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연료는 가스공사 제주기지와 연결된 가스망을 통해 조달하되, 배관망~발전소간 망확충이 필요한 경우 일정기간 유류를 대체 사용할 수밖에 없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발전설비는 가스터빈 200MW 2기와 스팀터빈 100MW 1기 조합이 일반적이지만, 이 정도 규모의 발전기는 워낙 설비효율이 낮은데다 LNG 연료가격도 고공행진을 하고 있어 실제 계획단계에선 설비량 조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수소혼소의 경우 일부 가스터빈 기종은 연소기 교체 시 비중을 크게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고 한다.

발전설비 전문가는 “수소혼소는 기술적으로 어렵지 않지만, 제주는 전력수요가 제주시내와 서귀포에 몰려 있어 신규 발전소 건설 시 송전선로 확충이 필수”라면서 “만약 사업자가 발전소부터 변전소까지 접속선로를 건설해야 한다면 공기지연도 감안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전력거래소는 제주지역의 재생에너지 비중제고를 위해 재생에너지 입찰제도 도입, 실시간 및 예비력시장 개설을 추진하고 있다. 

당국은 야간 피크부하 대응을 위해 신규 LNG발전소 건설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지만 안팎의 시선은 곱지 않다.

제주지역 한 재생에너지 사업자는 "제주처럼 크지 않은 계통에 200MW이상의 대형발전기가 추가로 진입하면 최소가동값 탓에 다른전원에도 큰 영향을 줄 것"이라며 "풍력발전은 출력제한에 대한 아무런 보상도 받지 못하는데, 정부가 너무 손쉬운 해법만 생각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다른 당국자는 "단위기가 커진다는 건 어찌됐든 부담이다. 수소혼소와 동기조상기 모드를 필수 적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상복 기자 lsb@e2news.com

▲가시리 태양광·풍력단지 ⓒ제주에너지공사
▲가시리 태양광·풍력단지 ⓒ제주에너지공사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