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투뉴스] 국내 수소자동차 1월 판매량이 2022년 1월과 비교해 17.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3250만~3750만원의 정부 및 지자체 구매 지원이 이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판매 감소가 나타난 것이다.

판매량 감소의 원인 중 하나로 충전소 판매가격 인상이 꼽히고 있다. kg당 가격이 8800원을 넘기지 않던 것이 천연가스가격 인상 이후 조금씩 오르더니 최근에는 전국평균 9400원을 넘었다. 충전인프라 구축과 가격 경쟁력이 기존 정부가 제시한 것과 다르게 흘러가고 있어 소비자에게 구매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다.

수소충전소 운영사들도 어려운 상황을 겪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가격 인상에도 여전히 적자를 보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한다. 특히 이윤을 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민간 운영사들은 적자 운영에 사업 확대를 망설이고 있다.

반면 지자체가 운영하는 충전소는 가격 인상에도 kg당 9900원을 벗어나지 않고 있다. 수소차 보급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연료비에서라도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것이다. 민간 운영사들은 “가격을 올리면 지자체 운영 수소충전소와 비교 대상이 돼 버려 섣불리 올리기 힘든 고충을 겪고 있다”고 애로사항을 토로하고 있다. 

이같은 상황이 발생하게된 근본적인 원인은 정부의 무리한 수소차 및 충전인프라 보급 목표에 있다. 정부는 지난 2019년 수소경제 로드맵 발표를 통해 지난해까지 수소차 8만1000대 보급, 충전소 310개소 구축, kg당 가격 6000원을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달 기준 수소차 약 3만대, 충전소 165개소만이 구축·운영되고 있다. 충전소 판매가격은 kg당 7000~8000원에서 7700~1만2400원으로 오히려 상승했다.

정부의 무리한 목표 수립에 업계가 피해를 안고 가는 상황이다. 그러나 정부의 목표는 아직도 세계 최초, 세계 최대 등 보기 좋은 수식어로 포장돼 있다. 최근 정부가 발표한 수소화물차 보급 목표만 하더라도 올해 말까지 수소화물차 100대 보급, 상용차충전소 68개소 구축을 이뤄내야 한다. 상용차충전소는 기존 수소충전소보다 더 넓은 부지를 필요로해 공간 확보가 쉽지 않다. 또한 구축이 단기간 내에 이뤄지는 것이 아님을 감안하면 현실을 고려한 목표를 설정한 것인지는 생각해봐야할 문제다. 

흔히 수소를 미래먹거리라고 하는 것처럼 수소경제 선두주자 위치 확보는 물론 중요하다. 다만 그 과정에서 불필요한 수식어로 업계의 어려운 상황을 감춰서는 안된다. 보여주기식이 아닌 현실에 입각한 목표 수립이 이뤄져야 할 때다.

유정근 기자 geun@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