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산자원도 전력도매시장·보조서비스시장 참여 가능

▲계통유연자원 서비스화 기술개발 개념도
▲계통유연자원 서비스화 기술개발 개념도

[이투뉴스] 정부가 한국형 VPP(가상발전소·통합발전소) 통합플랫폼 개발을 위해 2026년까지 4년간 260억원을 투입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5일 서울 오크우드 프리미어 코엑스센터에서 에너지기술평가원, 한전, 전력거래소, 에너지공단 등 유관기관과 제주에너지공사, 현래로오텍 등 민간기업이 참석한 가운데 계통유연자원 서비스화 기술개발 착수보고회를 연다.

이 자리에서 정부는 새 연구개발 계획과 기관별 분산에너지 활성화 대책을 공유할 예정이다. 제주에너지공사가 계통유연자원 서비스화 VPP 통합플랫폼과 ISO-DSO 협력체계 운영시스템 개발 계획, 한전이 섹터커플링을 활용한 계통유연자원화 서비스 개발 계획, 현대로오텍이 계통유연자원을 활용한 분산에너지 계통접속 한계용량 증대 기술을 각각 발표하기로 했다.

VPP는 태양광이나 풍력처럼 출력 변동성이 큰 재생에너지 확산에 대응해 ICT 기술을 활용해 소규모 분산에너지를 급전 가능한 자원으로 통합해 전력시장에 입찰할 수 있도록 엮은 가상의 발전소를 말한다. 전력거래소 급전지시나 통제를 받으려면 모집 용량이 일정규모 이상이여야 하고, 변동성을 완화하기 위해 ESS 등을 갖춰야 한다. 

전 세계 최대 규모 VPP기업인 독일 네스트크래프트워크사의 경우 유럽 8개국과 일본 소재 태양광 등 발전기 4000여대 10GW 이상을 네트워트로 통합해 운영하고 있다. 

정부는 이번 연구개발을 통해 섹터커플링(P2X) 기술과 ESS, 수요자원(DR), 전기차연계(V2G) 등 계통유연화 자원을 활용한 수십MW규모 통합발전소를 구성 및 운영하고 VPP 통합플랫폼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또 분산자원이 전력 도매시장뿐 아니라 수요자원이나 보조서비스시장 등에도 참여해 거래될 수 있도록 다양한 집합자원 사업화 모델도 개발하기로 했다.

산업부 신산업분산에너지과 관계자는 "기술개발이 확산되면 한국형 VPP에 대한 민간기업의 적극적 투자가 촉진되고 지역 전력수요와 공급을 일치시키는 분산에너지가 확대돼 대규모 송전망 투자절감과 계통망 안정화 효과도 누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VPP 법적 근거를 담은 분산에너지활성화특별법 제정안과 전기사업법 개정안은 이달 16일 국회 법사위를 통과해 25일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상복 기자 lsb@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