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특수목적법인 SPC설립…올해안에 실증단지 착공

 

▲ 전국주요풍력자원 현황도 (출처-기상청 국립 기상연구소)
[이투뉴스] 전라남도가 5GW에 달하는 대규모 육·해상풍력발전사업에 발을 디뎠다.

예부터 전남은 농업을 대표 먹거리 사업으로 삼아온 곳으로 농사와 관광사업 외엔 별다른 수익이 없었다. 그러나 1999년 전남 신안군에 독일 지멘스사가 풍력발전기를 들여와 바람을 전기로 바꾸기 시작하며 전남은 풍력산업에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이상면 전남도 정무부지사는 "전남에 풍부한 바람자원을 산업화 하기 위해 만든 로드맵이 바로 '5GW 육·해상풍력발전단지'"라면서 "해상풍력은 아직 국내에서 시도하는 단계이기 때문에 길은 험난하겠지만 이렇게 만들어 놓아야 정부도 더 고민할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전남도는 지난해 1월부터 전국에서 풍황자원이 우수한 서남권 연안 및 해상 지역에 풍력발전 산업단지(291만m²)와 더불어 5GW 이상의 풍력발전단지를 향후 20여년 동안 단계적으로 건설해 나가는 '전라남도 5GW 풍력산업 프로젝트'를 마련했다.

도는 이를 위해 지난해 10월 포스코 등 28개 기업과 1차 투자협약을 체결했으며 지난달 산업은행 등 9개 기업과 2차 협약을 체결하는 등 모두 18조 5000억원 규모의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정부는 이미 지난해 5+2 광역경제권 개발사업의 호남권 선도사업으로 '서남해안 풍력산업허브 구축사업'을 선정하고 연구개발(R&D)자금 97억원을 업계에 지원했으며 목포대학교에는 250억원을 지원해 '풍력산업인력양성센터'를 구축했다.

도는 본격적인 프로젝트 추진을 위해 지난해 8월부터 6개월간 2억6000만원을 투입해 영광, 신안, 무안, 함평군 해상 일원을 중심으로 예비타당성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조건은 영광 오도, 신안 대노록도, 비금도 등 3개 섬지역의 기존 풍황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심 20m이내, 연안 20km이내 지역 2500km²를 범위로 한정하고 지멘스사 3.6MW, 리파워사 5.0MW의 풍력발전기를 사용했다. 전력연계 비용은 선진 풍력국가들의 경우와 같이 정부가 지원하는 경우로 가정했다.

6개월의 조사 결과 조사지역 내의 해상풍력 발전잠재량은 약 4GW이며, 서해안 전체의 잠재량은 약 13GW로 나타났다. 최근 기상청 발표 자료에 따르면 전남의 풍속은 7.0m/s~8.0m/s로 타 해상보다 1.0m/s~1.5m/s가 높게 측정됐다.    

가상 발전단지에 대한 경제성은 지멘스사의 3.6MW 발전기 적용시 IRR 14.18%, 단순투자회수기간 6.25년이며, 리파워사의 5.0MW 발전기 적용시 IRR 16.00%, 단순투자회수기간 5.67년으로 상당히 양호한 것으로 분석됐다.

해상풍력 4GW, 육상풍력 1GW 등 모두 5GW(효율 31% 기준)는 약 390만 가구가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이며 연간 약 700만톤의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를 가져오는 규모다.

이는 우라늄을 투입하는 영광원전과 비슷한 발전량이고 유연탄을 투입하는 영흥화력발전소 2기의 약 10배 이상과도 비슷한 규모로 볼 수 있다.

◆ 지자체 부지매수로 민원·인허가 문제 해결…바다목장으로 주민소득증대까지
전남의 경우 해상풍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허가·민원에 대한 문제를 부지매수를 통해 원천봉쇄했다. 풍력발전으로 세수가 확충되면 주민복지에 쓰일 수 있게 피드백도 마련된 상태다. 

특히 도는 해상풍력이 들어서는 자리에 인공어초를 깔아 바다목장을 조성할 계획이다.

박창훈 전남도청 투자개발과장은 "지금까지 소규모 인공어초 사업은 모래와 갯벌에 묻혀서 모두 실패했지만 해상풍력발전기를 1기 세울 때 밑 면적 300여평이 필요하기 때문에 대단위 어초단지를 실패없이 형성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발전기가 세워지게 되는 해저는 기존부터 모래밭이었기 때문에 바다목장이 조성되면 관행어업을 하는 어민들의 어획량도 늘게 될 것"이라면서 "이 지역은 항로도 아니기 때문에 선박운행에도 문제가 없다"고 덧붙였다.

도는 또 육상풍력의 경우에 대한 원칙을 세웠다. 마을의 북측지역으로는 1km이상 띄우고 마을 앞쪽은 약 500m의 거리를 두고 발전기를 세울 방침이다. 

▲ 이상면 전라남도 정무부지사

[인터뷰] 이상면 전남도 정무부지사 

"해상풍력 국산화 이룰 것"

-전남 풍력사업의 경우 발전사업보다는 설비공장 유치에 중점을 둔다고 했다. 그 이유는?
▶처음엔 발전사업만 보고 국·내외 기업 상관없이 유치했다. 그러나 향후 풍력발전의 국산화를 위해서는 설비공장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닫고 과거 협약을 모두 백지화, 지난해 1월 기업들을 다시 설득했다.

정부정책으로는 2020년까지 2GW를 하겠다고 하는데 이것은 너무 적은 용량이다. 이렇게 되면 점점 산업화와 멀어지게 되기 때문에 발전사 중심이 아닌, 설비사업으로 내수시장을 쌓아 국내에서 해외로 뻗어나가야만 한다.

외국 업체가 들어올 경우엔 국내에 설비공장을 세워야만 하며 기술이전을 해야 한다는 조건이 붙는다.

-현재 국내 기술력으로 해상풍력 국산화가 가능한가.
▶가능하다. 해상구조물과 해양플랜트 분야에서는 우리나라가 세계적 수준을 보유하고 있으며 시공능력에도 경쟁력이 상당하다.

내달 사업추진 특수목적법인인 SPC가 설립되면 7월중으로 타당성 조사에 들어가고 그 후 용역기간만 1년 반이 걸린다. 또 용역이 끝나면 업체 배분 및 인허가 과정이 6개월에서 1년이 걸리니 전부 3년여의 기간이 소요되는 중장기적 사업이다.

전남도와 오는 27일 3차 협약을 체결하는 현대중공업의 경우 해상풍력에 대한 R&D가 마무리된 상태이며 효성 역시 마무리 단계에 있기 때문에 3년내에 국산 풍력발전기를 세우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정부는 어떤 형태로 풍력에 투자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RPS로 해상풍력의 가중치는 2배 이상 인정해줘야 한다. 육상풍력의 경우 MW당 25억원이지만 해상풍력의 경우는 MW당 40억원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또 선진국에 비해 전력판매가격이 낮다. 독일의 경우 육상은 kW당 150원, 해상의 경우 kW당 250원의 가격을 보장해 주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육상발전은 kW당 105원이기 때문에 풍력산업의 육성을 위해서는 선진국 수준의 가격이 보장되야만 한다.

현재 중국은 2020년까지 풍력산업에 750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나섰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그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300조원이 전부다. 특히 해상풍력은 높은 설치·유지 비용과 계통연계 등 육상풍력발전에 비해 어려움이 많은데 이에 대한 정부지원이 전무한 상태다.

- 앞으로 사업은 어떻게 추진되나.
▶내달 SPC설립이 완료되면 1단계로 200MW 육상풍력발전단지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며 오는 7월 이번 프로젝트 육·해상 본타당성 조사용역을 발주할 것이다. 그리고 오는 11월부터 200MW실증·시범 육상단지의 일부를 착공하게 된다.

▲ 2002년도에 건설된 덴마크의 160mw급 혼스레브(horns rev) 해상풍력 발전단지

전빛이라 기자 jb1021@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