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실용화할 듯

토양과 수질을 오염시키는 가축분뇨를 바이오 가스 등으로 전환해 에너지로 사용하자는 의견이 나왔다.

홍문표 한나라당 의원은 소규모 개별농가의 가축분뇨 처리에 어려움이 많고 토양과 수질을 오염시키는 사례가 많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홍의원은 "소규모 개별농가에 분뇨시설이 빠르게 부식되고, 조기에 노후화되어 유지관리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퇴비화에 필요한 톱밥 등 수분조절재의 수급 및 가격 불안으로 가축분뇨 처리의 어려움이 많다"고 말했다. 그는 "처리시설 및 운영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안정적 처리시설 운전이 되지 않고 방류수 수질 기준을 초과하거나 기술부족으로 고가의 시설 및 장비의 방치사례가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그는 가축분뇨를 활용한 바이오 가스 생산을 제지했다. 홍의원은 바이오 가스의 장점으로 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정부 예산 절감, 천연 에너지원, 화석연료 및 비료 수입 감소, 농가 소득 향상, 청정에너지 생산, 온실가스 및 가스상오염물질 저감 효과 등을 꼽았다. 단점으로는 초기설치비가 높고, 운전인력의 전문성이 요구된다는 점이 있다. 홍의원은 12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가축분뇨 문제 해결을 위한 자원화 방안' 주제의 국정감사 정책 자료집을 제출했다.

 

이에 따라 산업자원부는 이 방안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최병달 산자부 신재생에너지팀 자원사무관은 "가축분뇨 에너지화를 위한 바이오 가스 플랜트 기술 개발은 완료됐다"면서 "시범 보급을 1차적으로 실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대우건설에 플랜트 개발과 실증사업에 6억원과 시범보급사업에 8억원 등 총 14억원을 지원했다.

 

하지만 가축분뇨를 이용한 바이오가스의 실용화에는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보인다. 서재호 농림부 축산경영과 사무관은 "외국은 가축 분뇨의 에너지화를 위해 제도적으로 차액보전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우리나라에는 정책 부족 등으로 실용화에 우려가 큰 것을 사실"이라고 말했다. 서사무관은 "일반적으로 전기를 생산할 때 소득이 나온 사례가 없고 제도적 뒷받침도 미흡해 실용화하는 데는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조상민 한국농촌공사 첨단농업시설팀장도 "실용화는 가능하지만 준비작업이 더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실용화를 위해서는 화학소독제를 안 쓰는 등 신선한 분뇨를 생산할 수 있도록 축산농가의 협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2012년께 실용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