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수급 여건 악화로 부하관리제 활성화…비용 부담은 과제

[이투뉴스] 폭염과 가뭄으로 타들어가는 한반도의 대지는 식을 날이 없다. 30℃가 넘는 더위로 지친 시민들의 발길은 백화점이나 카페 등과 같은 건물 안으로 향한다.

실내로 들어서면 폭염은 어느새 다른 나라 사정이 된다. 당장 전철에 올라 타기만 해도 땀은 금세 증발하고 피부는 뽀송뽀송해진다.

여름철 서울의 대형마트나 백화점, 카페, 편의점 등 각종 영업장이나 실내에서 전기냉방을 통해 시원한 바람을 맞는 것은 우리에게 일상화돼 있다. 지난 10년간 냉방수요는 2001년 860만kW에서 지난해 1532만kW로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이는 전력수급문제와 직결된다. 전기요금이 싼 탓에 전력수요는 급증하지만 공급능력이 충분치 않아 전력난을 걱정해야 하는 처지다.

여름철과 겨울철 집중되던 전력 부족 현상도 이상기온으로 연중 내내 계속되는 기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제 공급 위주의 전력 정책만으로는 수급 불안을 해소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

지난달부터 이달 초까지 예비전력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00만kW 이상 줄었다. 주민 반대로 발전소 건설이 지연되거나 예방정비 중인 발전소들이 있어 공급능력이 여의치 않지만 무더위로 수요는 계속 늘고 있기 때문이다.

그나마 수요관리를 시행하면서 위기를 모면하고 있는 형국이다. 지난 1~2주 평균 예비전력은 344만kW. 수요관리를 하지 않았다면 38만kW까지 곤두박질쳤을 상황이다.

올해 특히 어려운 전력수급 상황의 해결사로 나선 수요관리 실적은 두드러진다.

지난해 5~6월만 해도 수요관리 실적은 전무했지만 올해에는 지난달부터 산업체 수요관리로 평균 150만~200만kW 수준의 수요를 감축했다.

전력수요를 줄이기 위한 부하관리 제도에는 한국전력이 운영하는 주간예고제와 지정기간제, 전력거래소가 운영하는 수요자원시장이 있다.

한전의 부하관리제도는 전력수요가 집중되는 시기에 사전 약정을 체결한 고객이 전력 사용을 줄일 경우 지원금을 지급하는 제도다. 수요자원시장은 예비전력이 500만kW 이하로 예측될 때 하루 전이나 한 시간 전 일정시간대 부하 감축량을 입찰받아 전력 사용을 줄이도록 하는 제도다.

수요자원시장에 참여하는 기업은 130여곳으로 참여율은 평균 40% 수준을 보이고 있다. 시장에 참여하는 기업들은 전력산업기반기금을 통해 kWh당 900~1000원 수준의 보조금을 받게 된다.

수요자원시장의 연간 실적을 보면 수요감축량은 매년 늘고 시장가격은 하락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만큼 수요자 간 경쟁이 강화됐다는 방증이다.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제도가 처음 도입된 2009년 36만4000kW에 불과했던 감축량은 2010년 51만3000kW, 지난해 69만kW로 늘었다. 반면 시장가격은 2009년 kWh당 1157원에서 2010년 1072원, 지난해 947원으로 하락했다.

한전의 주간예고제의 경우 2010년 138만9000kW에서 지난해 153만4000kW로 감축량이 증가했다. 올해는 상반기에만 벌써 155만6000kW로 작년 실적을 앞질렀으며, 감축목표인 150만kW를 일찌감치 넘어섰다.

하지만 수요관리 활성화에 따라 비용 부담이 커지는 부분은 극복해야 할 과제다. 본격적인 여름철이 오기 전부터 부하관리에 예상보다 많은 비용이 들어감에 따라 사업 예산이 이미 바닥을 드러냈기 때문이다.

연초 계획한 전력산업기반기금 2조2000억원 가운데 전력 부하관리 사업 예산으로 666억원을 책정했지만 상반기에만 수요관리에 참여한 기업들에 지급해야 할 보조금은 2000억원을 훌쩍 넘겼다.

이에 따라 정부는 예비전력 500만kW 미만으로 설정돼 있는 수요관리 기준이 너무 높게 잡혀 있다고 보고 이를 450만kW 수준으로 낮추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전기요금을 현실화함으로써 전기과소비를 억제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김광균 기자 kk9640@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