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쇠락 석탄회생 가능성 낮아…작년 석탄화력 94개 폐지

[이투뉴스] "파리 기후변화협약을 탈퇴하겠다"고 공언해 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가 기존 입장을 번복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최근 <뉴욕타임스>와 가진 인터뷰에서다. 강경했던 그의 입장 선회는 잔뜩 기대했던 석탄 채굴·발전업계에 먹구름을 드리우고 있다.

트럼프는 최근 이 신문사 본사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파리협약 탈퇴' 재거론을 거부했다. 대신 “이 문제를 면밀히 검토하고 있다”며 “(기후문제에 대해)열린 생각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지구온난화의 원인이 문명활동에 의한 것 아니냐는 질문에 "일부 연관성이 있다”고 답했다.

앞서 석탄산업 회생은 도널드 트럼프 선거 공약의 핵심이었다. 그의 전략은 경합지였던 펜슬베니아주와 오하이오주 승리로 결정적 역할을 했다. 그러나 석탄 공약은 그가 실행하기 어려운 공약중 하나가 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미국의 석탄산업 일자리는 지난 수십년간 하향곡선을 그려왔다.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 채광의 자동화, 제조 산업의 둔화가 원인이다. 반면 시장 전문가들은 석탄 산업이 대통령 정책보다 시장 경제의 흐름에 운명이 갈릴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석탄자원의 최대 라이벌은 천연가스다. 천연가스는 트럼프 행정부 아래 더 강력한 경쟁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 송유관 건설 제약이 완화되고 있고, 가스탐사와 생산규제가 풀리면서 더 많은 천연가스가 시장에 공급될 가능이 높아서다.

석탄가격은 계속해 반등의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으나 천연가스 가격은 이보다 더 가파르게 떨어지고 있다. 테드 오브라이언 돌리 트레이딩 컨설턴트사 박사는 "트럼프 당선인이 광부를 일터로 다시 데려가는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과잉 규제들을 없앨 수는 있지만, 그로 인해 석탄 수요를 늘릴 수 있다고는 보지 않는다”고 부연했다. 사실 석탄산업의 쇠락은 오바마 대통령이 2009년 백악관에 입성하기 전부터 시작됐다.

20세기 말부터 시작된 미국 철강산업의 쇠퇴는 아팔라치아에서 대부분 생산됐던 유연탄의 수요를 감소시켰다. 더욱이 발전사들도 지난 몇십년간 신규 석탄화력 건설을 줄이고 있다. 더 청정하고 저렴한 천연가스가 등장하면서 경쟁상대가 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에서 석탄발전은 2008년까지만해도 전체 전력 생산량의 절반을 차지했으나 현재는 30% 수준까지 미끄러졌다. 관련 업계 CEO들 역시 트럼프가 이 산업을 어떻게 도울 수 있는지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헛된 기대를 품는 것도 경계하는 눈치다.

수요감소와 함께 채광 자동화도 많은 광부들의 일자리를 빼앗았다. 현재 미국 탄광산업 종사자수는 약 5만명이다. 1980년에는 25만명이 일했다. 대부분의 인력 감소는 아팔라치 탄광에서 발생했다.

몇년전까지만 해도 석탄 업계 경영자들은 수출에 희망을 걸었다. 중국과 개도국 성장에 따라 전체 생산량의 8%가 수출됐다. 그러나 2012년 최고치를 찍은 뒤 수출량은 계속 떨어지고 있다. 개도국들의 경제성장 둔화와 기후변화 대응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이런 가운데 JP모건 체이스와 뱅크오브아메리카와 같은 대형 투자사 및 국제개발 은행들은 신규 석탄화력에 대한 파이낸싱을 철수하고 있다. 이런 경향은 트럼프 행정부에서도 바뀔 가능성이 낮다.

트럼프 행정부는 오바마 대통령의 청정발전계획(CPP)을 완화시켜 석탄산업을 간접적으로 지원할 수도 있어 보인다. CPP는 석탄화력을 천연가스나 재생에너지원으로 전환하도록 촉진하는 기폭제가 되고 있다.

발전사들은 노후 석탄화력을 더 청정한 방법으로 개조하거나 천연가스 또는 풍력과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로 전환해야 한다. 현재까지는 대부분의 발전사들이 설비를 교체하는 방안을 선택하고 있다.

지난해 미국에선 94개 석탄화력이 문을 닫았다. 올해말까지 추가로 40개 이상이 폐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당선인이라도 이들 발전소를 다시 가동시킬 방법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석탄산업 경영자들은  트럼프와 의회가 청정석탄 법안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아울러 연방 토지에서의 석탄 채굴에 대한 임대료를 낮추고 노천 채광으로 인한 강물 보호규제를 철회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트럼프가 실제 정책으로 이들 공약을 어떻게 처리할 지 귀추가 주목된다.

<시애틀=조민영 기자 myjo@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